청동기시대의 인공 못
 
Image_View
Image_View청동기 시대는 석기를 사용하던 인류가 구리와 주석을 합금하여 만든 금속을 사용하기 시작한 시기이다. 이때에 농경과 목축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져 증대된 생산력을 바탕으로 사회 전반에 커다란 변혁이 발생하였다. 특히 벼농사가 보급되고 이에 따라 농업 공동체가 확립되는 즉, 집약적 정착농경이 시작되는 획기적인 변화의 시기였다.
2005년 5월 경상북도 안동에서는 한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청동기시대의 인공 연못이 확인됐다. 안동시 서후면의 저전리 일대를 발굴조사한 결과, 2600년 전 이상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청동기시대의 인공 연못을 포함한 저습지 유적이 확인되었다.
조사 결과 이 저수지는 자연수로(水路)나 작은 하천이 위치한 계곡 지대에 장방형으로 파서 만든 인공 연못으로 드러났다. 물이 연못으로 유입되는 入水口와 수량을 조절하기위해 만든 것으로 추정하는 出水口가 뚜렷하게 남아있었다.
저수지와 출수구 사이에는 나무로 만든 보(洑) 시설로 추정되는 흔적이 남아 있으나, 범람으로 인해 다듬은 말목 등의 목재는 휩쓸린 채 확인됐다. 바닥면에서 확인되는 다량의 민무늬 토기와 석기편의 특성으로 보아, 이 저수지 축조 연대는 빠르면 기원전 8~7세기 까지 올려 볼 수 있는 것이었다.
지금까지 인공으로 만든 가장 오래 된 인공 못이라고 하면 서기 3~4세기 경의 김제의 벽골제(碧骨堤)나 의림지(義林池)의 기록이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저수지는 우리나라 인공 못의 역사를 청동기시대 전기까지 거슬러 올라가게 하였다. 현재까지 청동기시대에 논농사를 지었다는 증거로는 울산, 밀양, 논산지역에서 물의 흐름을 조절하는 장치로 보이는 시설 등이 발견된 바 있다.
집약적인 정착농경이란 저수지와 수로를 만들고, 많은 노동력을 투입하여 논이나 밭을 만들어 관리하면서 농사를 짓는 것을 말한다. 저수지 등 관개, 수리시설을 만들고 관리하며 물과 관련된 분쟁을 조정할 수 있는 사회는, 적어도 족장이나 군장과 같은 영향력을 가진 사람의 존재를 필요로 하는 사회였을 것이다.
이곳 저수지의 출수구 주변에서 나무 절구공이가 대형목재에 깔린 채 발견되었다. 주변에는 청동기시대 전기의 토기편들이 흩어져 있었고, 저수지 출수구를 통하여 흘러내린 물이 야트막한 웅덩이를 이루고 있었는데 이 웅덩이의 중간 높이에서 출토된 것이다.
절구공이는  양말단의 직경이 9cm 내외의 크기이고, 단면은 원형에 가까우며, 손잡이로 추정되는 중앙부에는 돌기가 있는 것으로 전체길이는 약 150㎝이다. 같은 용도의 유물이 일본의 나라현에서는 기원전 4~3세기의 유적에서 보고된 바 있고, 국내유적으로는 초기철기시대의 대표적인 저습지유적인 광주 신창동유적(기원전 1세기)에서 출토된 바 있다.
저수지 출수구 부근에 지름 2~3m 크기의 물웅덩이가 노출되었는데 여기에서, 도토리, 솔방울, 박씨, 각종 야생 씨앗류와 함께 탄화미(炭化米), 벼껍질이 다수 출토되었다. 특히 탄화미와 벼껍질은 절굿공이와 함께 이 시기 논농사의 생활상을 잘 보여주는 증거였다. 저전리 유적은 우리나라에서 청동기시대 전기에 살던 사람들이 이미 저수지를 축조하고, 곡물을 수확하여 절구로 정미하여 음식을 조리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 된다.

저습지유적은 유기질 유물을 분해시키는 생물의 활동을 제한하는 저산소 또는 무산소 지역인 탓에 동, 식물성 유존체가 비교적 양호한 상태로 잔존한다. 따라서 저습지유적은 기록되지 않은 과거의 생활상을 밝히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저습지유적은 고대사의 타임캡슐인 것이다. 그러나 저습지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는 폭넓은 자연과학적 지식이 요구되고, 또한 더 많은 수고와 비용이 수반되어야 하기 때문에 고고학자가 피하고 싶을 만큼 매우 어려운 대상이기도 하다.
Image_View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