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연간 목재소비량 2687만m3(2010년 추정치)의 13%을 자급하는 국가이지만, 버려지는 목재 재활용은 50% 수준에 머물러 있고 이 또한 정확한 통계자료 조차 없는 실정이다. 목재자원의 자급률이 낮은 가장 큰 이유는 60~70년대 산림녹화를 위해 심었던 산림이 녹화에는 성공했지만, 합판재·제재목·목조주택용 등 경제성 높은 일반용재로는 키우지 못했기 때문인데, 첫 번째 원인은 산림예산에 대한 홀대로 인해 산림을 순환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인프라인 임도 개설과 주기적인 간벌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며, 두 번째 원인은 산림을 자원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경관상 아름답게 가꾸자는 인식이 대다수 국민들의 보편적 정서로 고착화 되어 있기 때문이다.

환경부나 지경부, 산림청, 지자체 등에서는 신재생에너지 정책의 일환으로 목재자원을 에너지화하겠다는 정책을 쏟아내고 있지만, 수요 창출에만 급급할 뿐 정작 목재자원의 공급 확대에 대한 정책은 없는 실정이다.

매년 논과 밭에 씨앗을 뿌려 가을이면 곡식을 거두고, 바다에서는 각종 해산물을 양식하여 키우지만, 우리 국토의 63%나 되는 산림은 그저 바라만 봐야 한다는 인식으로 이미 벌기령이 된 활엽수 와 낙엽송 등이 나무속에 심폐가 발생되어 썩어 들어가고, 우거진 숲을 뒤덮은 칡덩굴은 나무들을 고사시키고 있으며, 빽빽하게 심어진 나무들은 햇빛을 보지 못해 생장이 멈추고 있다.

일본의 경우 온실가스 절감목표 6%를 산림을 이용해 3.8%를 절감하기 위해 국산재이용 촉진활동, 산림·임업 재생플랜 시행, 간벌 촉진 등 벌목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개선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특히, 2010년에는 공공건축물에 있어 목재이용 촉진에 관한 법률까지 공포되어 시행하고 있다. 작년 6월 제출된 일본 산림·임업재생플랜의 중간 보고서에서는 D재로 불리는 임지잔재(말목(末木)·지조)를 칩으로 만들어 보드류·펠릿·종이 등 제품으로 활용 후 연료로 단계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2011년도 산림관리·환경보전 직접 지불 제도를 위한 예산으로 570억 엔이 책정됐다.

이제는 우리나라도 산림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진정한 녹색성장 정책이 시행되어야 한다. 그 첫 번째가 바로 산림에 버려지는 임지잔재의 자원화 사업이다. 임지잔재라 함은 벌기령이 도래된 나무들과, 수종갱신 수종인 리기다를 모두베기해 생산된 원목은 반출하고, 나뭇가지목·말목 등 벌목한 임지 내에 그대로 방치하는 나무를 말한다.

임지잔재는 ▲조림을 위한 정리 작업비 발생 ▲새로운 나무를 식을 식재 공간 감소(약 15%) ▲산불확산 및 홍수피해 유발요인 ▲조림지 풀 베기 및 어린 나무 가꾸기 곤란 등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시킨다. 그럼에도 지금껏 자원으로 활용하지 못한 것은 비용이 너무 많이 소요되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골프장과 대규모 개발공사 현장에서 발생되는 임지폐목재(나무 가지류와 뿌리)의 경우, 특성상 뿌리를 캐어낼 때 혼입되는 돌 ·흙으로 인해 목질상태가 훨씬 불량함에도 불구하고 이미 5년 전부터 자원화가 시작돼 60만 톤 이상이 산업용재·에너지연료·농업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것이 가능했던 것은 사업장 생활계 폐기물로 지정되어 있기에 개발공사를 하는 시공 업체가 배출처리비용을 지불하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