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은 ‘목재산업진흥 종합계획’을 완성해 지난달 19일 기자브리핑을 하고 책자를 인쇄해 배부했다. 목재산업관련 종합계획은 산림청 개청 이래 처음으로 수립된 것이다. 이 종합계획을 뒷받침 해 줄 ‘목재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법률’이 2월 국회본회의에 상정돼 통과를 앞두고 있다. 이는 실로 매우 중대하고 역사적인 진전이다.

발간등록번호를 가진 책자로 인쇄된 공적 약속이 임업인과 목재인에게 공표된 것이다. 이제 지울 수도 지워지지도 않는 정부의 약속이 됐다. 목재산업진흥 종합계획의 완성도를 논하기 앞서 종합계획 자체의 존재에 대해 더 무게를 두고 싶다. 목재산업의 제도권 진입과 중장기적 진흥 토대가 마련된 데 의미를 두고 싶다. 계획의 수정은 어렵지 않지만 백지에서 만들어진 종합계획은 쉬운 작업이 아니다. 산림청 관계자의 노고에 대해 박수를 보낸다.

각 협단체는 종합계획을 분석해 세부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장기적으로 보완할 내용도 꼼꼼히 기록해 의견을 줘야 비로소 진정성 높은 목재산업진흥종합대책이 될 것이다.

모든 사안은 내 일로 받아들이고 행동을 했을 때만이 책임과 의무를 구별할 수 있게 되고 무책임한 비판에서 벗어날 수 있다.

종합계획 자체가 목재산업의 현실과 거리가 있더라도 그것이 현실임으로 인정하고 해가 갈수록 현실에 근접해 오도록 하는 책임은 우리에게 있다. 아무도 우리의 현실을 전해 주지 않은 채 정책이 수립되길 바란다면 기대수준과 거리가 멀게 된다. 우리 목재산업이 협력하고 공동의 이익을 위해 힘을 합했다면 종합계획은 몇 년 전에 나올 수 있었고 지속적 수정을 통해 보다 현실적인 계획이 됐을 것이다. 그렇지 못한 우리의 과오에 대해서도 깊은 반성이 필요하다.

이제 과거보다 미래의 변화를 위해 협단체는 머리를 맞대고 목재산업의 발전을 위해 지혜를 짜내야 한다. 목재단체총연합회는 산하 협단체를 모아 이번 ‘목재산업진흥 종합계획’에 대한 논의를 해야 할 것이다.

각 협회가 해야 할 부분과 전체 협회가 해야 할 부분을 논의해 행동 또는 실행대책을 마련해 명실상부한 목재산업 발전의 토대로 ‘목재산업진흥 종합계획’을 이용해야 한다.

연차별 투자계획과 일정에 대해서도 검토해서 예산의 실효성에 대해 살펴봐야 한다. 좀 더 시급하고 필요한 정책부분에 예산을 늘려주고 실효성 낮은 정책예산을 과감히 삭감하는 능동적인 조정이 필요하다. 이번 종합계획에 대해 협단체가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면 더 이상 산림청에 어필할 필요가 없다.

대책 없는 비판보다 대안 있는 대화가 더 필요한 세상이고 소통을 통해 조금씩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어 가는 지혜가 우리에겐 필요하다. 지금이 그럴 때이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