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 당시 산림청이 목재가격을 지정해서 그 이상 가격으로는 판매하지 못하도록 돼 있었다.

1. 뉴송 원목 국내 판매가격 논란
1969년 말 인천항에 입항한 뉴송 원목 11500㎥는 대한제재협회와 수입상인 한림통상이 50%씩 분할해서 판매하기로 했다. 하지만 시중의 뉴송 원목 가격이 산림청이 지정한 가격(재당 38원 50전)보다 비싸게 팔리고 있어 논란이 됐다. 당시 10만㎥를 수입할 계획이던 뉴송 원목이 계획량의 10%만 수입됐고, 그것도 6개월이나 늦게 인천항에 도착하자 원자재난을 겪고 있던 제재소들은 서로 구매하려고 나섰다. 이에 대한제재협회는 산림청이 지정한 가격보다 높게 팔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산림청은 지정 가격으로 판매할 것을 주장했고 판매가격에 대한 의견이 불일치하자 산림청은 이 이유를 들어 대한제재협회의 조합원에 대한 원목 수입 추천권을 박탈했다. 그러자 한림통상은 수입상 단독으로 산림청 가격보다 재당 2원이 높은 40원 20전에 판매했다. 한림통상측은 산림청 지정 가격보다 높게 팔아야 하는 이유로 산림청이 지정한 가격은 중품(中品)가격이지만 이번에 수입된 것은 상품이고, 산림청이 지정한 가격은 미터법에 의한 가격으로써 4원 20전이 적당하다고 해명했다.

2. 제재목 가격 현실화 촉구
1970년 당시에는 목재가격도 정부의 통제를 받도록 돼 있었다. 1970년 2월 대한제재협회는 현재 시중에서 거래되고 있는 각종 제재목의 가격은 68년도에 지정한 가격이므로 최근 물가에 비춰볼때 제재목 가격도 인상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제재업계는 현행 가격으로는 적자 운영을 면치 못하고 있고 경영난으로 문을 닫는 제재소가 많기에 제재목 가격을 현실화해야 한다고 당국에 촉구했다. 라왕 제재목은 30%, 미송 제재목은 20%, 뉴송 제재목은 22%의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3. 조달청, 비축용 미송 원목 수입
1970년 당시 정부가 목재가격 안정을 위해 비축용 원목을 수입했다. 조달청은 나날이 치솟는 미송 목재 가격의 안정을 위해 조달기금 1억2000만 원을 들여 미송 원목 1만㎥를 수입 비축하기도 했다. 하지만 1970년 8월 국내 미송 원목 재고량은 약 6만㎥에 달해 전년동기 2만3천㎥보다 약 170% 초과했고 더불어 금년내로 삼미사(三美社)가 3만㎥, 한일건설이 1만㎥를 수입할 예정으로 있어 미송 원목 국내 재고는 포화상태에 이를 것이라고 지적됐다.

조달청이 미송 원목을 수입하려는 취지는 9월부터 시작되는 성수기 목재 가격의 안정을 위한 것이라고는 해도 업계에 혼란만 유발하게 될 것이라며 국내 제재업계가 원재료 구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만큼 라왕 원목의 수입방안이 먼저 강구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4. 대일(對日) 제재목 수출 활발
대한제재협회(이사장 배종열)에 의하면 1973년도 제재목 수출목표는 1500만 달러인데 73년 11월 30일 2000만 달러를 기록, 30%나 초과 달성했고 연말까지는 500만 달러가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처럼 수출량이 늘게 된 것은 일본에서의 수입 요청이 늘어난 것이 주원인이지만 국내 중소 제재업자들이 내수 일변도에서 벗어나 수출에 주력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종전까지만해도 대일 제재목 수출업체는 삼미사(김두식 사장), 동화기업(승상배 사장), 신흥목재(이훈돈 사장), 보르네오(김병수 사장) 4개 업체에 국한돼 있었으나 동양목재(박률선 사장), 대이산업(엄중섭 사장), 현대신건재(윤순선 사장) 등 5~6개 업체가 제재목 수출해 참여했다. 대한제재협회는 일본의 제재목 수요가 점차 증대되는 반면 일본내 제재공장이 공해 관계 등으로 점차 사양화되고 있어, 대한(對韓) 수입 의존도가 점차 높아질 것으로 예상해 1974년도에는 약 5000만 달러의 수출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