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 옥상 녹화는 병원과 쇼핑몰 등에서 휴식과 재충전을 위한 새로운 공간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치열하고 각박해지는 사회가 지속되면서 지친 몸을 달래기 위한 휴식과 재충전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게 되고 자연에 대한 그리움도 커지고 있다.

건물 옥상 녹화는 빈 공터를 초록 식물로 단순하게 메꾸는 것이 아니라, 버려진 공간을 ‘보고 또 보고’ 싶을 정도로 아름답고 정성스럽게 꾸미는 것을 의미한다.

소득 수준이 높아졌다고 해서 조경 산업이 덩달아 성장하지는 않는다고 할지라도 조경이 주는 자연으로의 회귀, 삶의 본질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면서 조경은 그 가치와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조경은 이제 소득이 높은 사람만의 전유물이 아니라 누가 먼저 그 조경의 소중한 가치를 알고 가까이에서 그 진가를 향유하고 즐기느냐가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돈을 들여서 소유하는 개념에서 벗어나 정성을 들여 가꾸는 사람만이 그 귀중함을 온 몸으로 느낄 수 있게 되고, 작지만 풍요로운 소자연을 두고 싶어하는 욕구는 사회가 복잡하고 다양해질수록 더욱 강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당초 조경이 사회적으로 이슈화되는 시기를 10년 후로 예상했지만 지금은 5년 후로 수정해 전망할 만큼 한국에서 목재를 이용한 조경 현장은 날이 갈수록 많아지고 있다.

조경은 국민들의 건강 유지와 건전한 정서 함양에 큰 도움을 준다. 사회가 복잡해지고 고도화되면서 사회적 병폐 현상은 심화되고 있다.

조경은 궁극적으로 공간을 형성하는 공간이다. 피곤에 지친 국민들의 심성을 부드럽게 순화시키는 작업이 굉장히 중요한 일이라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조경은 단지 하나의 사업으로 국한될 것이 아니라 복지 차원에서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건물 옥상 조경은 오랫동안 기능적인 도시공간과 시설로써 사용돼 오던 곳에서 벗어나 공원이나 녹지로 복원되는 사례도 늘고 있다. 물 공장 ‘선유도’가 숭고미를 자랑하는 공원으로, 쓰레기 산 ‘난지도’가 하늘과 맞닿은 감각적인 공원으로 변모됐다. 건물 옥상의 변화는 보다 활력이 넘치는 경관도시로 탈바꿈 되고 있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