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1. 심재화에 따른 침엽수재 가도관 유연벽공에 있어서의 추출물 퇴적(A)과 벽공막 이행에 따른 벽공폐쇄(B~C) 및 활엽수재 도관 내의 타일로시스 발달(D~E)
▲그림 2. 목재의 조직 구조(A)에 따른 축 방향(B)과 횡 방향(C) 사이의 할렬 이방성
추출물의 성분과 함량의 차이
변재로부터 심재로 이행되더라도 기본적인 세포 구조는 변하지 않기 때문에 조직적인 면에서 볼 때 변재와 심재 사이의 목재 성질에 뚜렷한 차이가 나타날 이유는 없으나 실제로는 차이가 나타나게 되는데 이는 양자 간의 함수율 차이와 조직 내에 함유돼 있는 추출물의 성분 및 함량 차이에 기인한다.
어떤 특정 수종에 있어서는 색소 이외에 검, 수지 등의 물질이 세포 내에 침지돼 목재의 중량을 높이는 일이 있고 도관요소 내강으로 압출돼 형성된 타일로시스 내의 유세포 내용물과 목재 내 저장양분의 잔류물이 점차 타닌 또는 그 밖의 다른 물질로 변화돼 심재의 재색을 변화시키며 중량을 증가시키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면 서부적삼나무, 세쿼이아, 아카시아나무 등의 경우처럼 상당히 많은 양의 추출물을 지니는 목재에서는 무게와 압축강도가 다소 증가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부후균이나 곤충의 침해에 대한 저항성도 이와 같은 원인에 의해 증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심재가 지니는 독특한 냄새 역시 대개 방향성 추출물의 존재에 의한 것이다.

심재화에 따른 발달
심재화에 따라 추출물의 퇴적 이외에도 액상 물질의 이동통로가 되는 벽공이나 도관의 막힘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목재의 건조나 약액 등의 주입이 곤란한 결점도 보이기도 한다. 즉, 침투성이 나쁜 수종의 부류인 경우 침엽수재에서는 가도관의 벽공의 폐쇄가 일어나고, 활엽수재에서는 타일로시스에 의한 도관의 막힘이 그 원인이 되고 있다.
목재를 할렬시킬 경우 목리에 평행한 방향으로는 쉽게 쪼개지지만 목리의 직각방향으로는 잘 쪼개지지 않는 특성이 매우 강하다. 이와 같은 현상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목재는 수많은 세포의 집합체로 이뤄져 있다.
일반적으로 목재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세포는 폭보다는 길이가 큰데 길이가 폭의 100배 이상에 달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으며 이와 같이 길이가 긴 다수의 세포가 축방향으로 길게 배열돼 있기 때문에 축방향으로는 잘 쪼개지지만 직각 방향으로는 잘 쪼개지지 않는다.

방사조직이란
목재를 구성하고 있는 세포 가운데에는 방사방향으로 배열돼 있는 유일한 수평조직이 있는데 이를 방사조직이라고 한다. 방사조직은 방사단면에서 볼 때, 축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사방향으로 리본 또는 띠 모양을 나타내고 있으며 수간의 횡단면에서 보면 수피에서 수 또는 중심부를 향해 길게 뻗어 있기 때문에 목재는 방사방향으로 잘 쪼개진다. 따라서 목재는 축방향 세포와 방사방향 세포의 배열 특성으로 인해 축방향과 방사방향으로 쉽게 할렬 된다.
접선단면에서는 방사조직의 면적이 가장 적게 나타나는데 육안으로 보이는 경우도 있으나 활엽수 목재와는 침엽수 목재에서는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것이 보통이다.
열대산 활엽수재 가운데 아메리카마호가니, 미얀마 자단, 흑단처럼 목재의 접선단면 상에서 높이가 같은 방사조직이 수평으로 밀집 배열돼 층계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일반적으로 나타나는데 이를 ‘리플마크’라고 하며 공예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다음호에 계속됩니다.>
국민대학교 임산생명공학과 엄영근 교수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