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목재 ②

<그림 1> 재구성 인조단판(A)과 그라비어 코팅(B)
천연 목재 단판 오버레이
0.3㎜ 이하의 얇은 천연 목재 화장단판은 습윤 상태 그대로 요소수지접착제 또는 여기에 초산비닐수지접착제를 혼합한 것이 미량 도포되어 있는 바탕재 위에 적층하여 열압한다.
0.3㎜보다 두꺼운 화장단판은 바탕재보다 낮은 함수율 수준인 7∼8%로 건조하고 점도가 높은 요소수지접착제를 사용하여 열압 또는 냉압으로 바탕재에 붙여준다.
그러나 나무는 자연환경 속에서 오랜 세월 동안 생장해 왔기 때문에 동일 수종의 나무라고 할지라도 나뭇결이나 재색 등이 같은 것은 하나도 없다. 또한 예로부터 명목(銘木)으로 취급되어 온 티크, 자단, 흑단 등은 세계적으로 그 자원이 고갈되어 손에 넣기가 곤란해지게 되었으며 소나무나 편백 등의 경우에도 옹이가 없는 정목판은 명목에 버금갈 정도의 높은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다. 따라서 최고급품은 예외지만 일반 가구나 세간에 명목 또는 나뭇결과 재색을 조합시킨 고가인 목재가 사용될 수 없기 때문에 요즈음에는 인공적으로 제조한 문양의 단판, 즉 재구성 인조단판(re-constructed veneer)이 개발되기에 이르렀다. 이것은 양적으로는 풍부하나 목리, 문양이나 재색에 별다른 특징이 없는 목재를 원료로 사용해 구하기 어려운 고가의 목재를 닮은 재료를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만들기 위해 고안된 것인데 천연의 목재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목재에는 없는 추상적인 문양의 것도 만들어내는 것이 가능해지게 되었다. 재구성 인조단판은 컴퓨터 지원 설계(CAD/CAM)를 이용하여 제조하게 되는데 그 제조법을 살펴보면 목리가 선명하지 않고 비교적 재색이 옅은 목재로부터 두께 약 1㎜ 정도 되는 단판을 깎아내고 건조한 다음, 종이나 천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백해 얼룩 반점이 없는 백색 단판을 만든다. 그리고 이 표백된 단판을 최종 상품의 모양에 따라 다양한 색으로 염색한 다음 여러 종류의 염색 단판에 접착제를 도부하고 일정한 순서에 따라 형틀 속에서 적층, 압체하여 단판 절삭용 목편을 제조하는데 이 때 목편에 凹凸을 넣어주거나 목편을 활처럼 구부려 주기도 한다. 이렇게 제조된 목편을 슬라이서로 절삭하면 동일한 모양의 단판 생산이 가능해지게 된다. 각도를 주어 비스듬하게 절삭한 단판을 사용해 다시 목편을 만든 다음 절삭하면 복잡한 모양의 추상적인 무늬를 지니는 단판이 얻어지게 된다. 이처럼 원료로 사용했던 목재와는 완전히 다른 목리, 문양이나 재색을 지니게 된 새로운 목재 가운데 나뭇결을 닮은 무늬를 지니는 것은 가구와 시스템키친, 천장이나 장식재 등으로 그리고 추상적인 무늬를 지니는 것은 상점의 마루 바닥재, 계산대, 진열대 등의 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그림 1의 A).

화장 인쇄지 오버레이
인쇄합판의 제조에 사용되는 화장 인쇄지는 23∼40g/㎡의 박엽지로 문양이나 도안만을 인쇄한 것과 인쇄 후 수지를 표면에 입혀 부가가치를 높인 코트지(coated paper)가 있다.
인쇄지만을 바탕재에 붙이는 경우에는 접착제로써 요소수지접착제나 초산비닐수지접착제를 사용하여 롤러로 적층(roll laminating)한 다음, 즉시 평판 열압기에서 열압하는 방식이 많이 채택되고 있다. 요소수지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화장 인쇄지의 이면에서 수지의 침투가 일어나게 되며 성능적으로 우수한 편에 속한다. 코트지용의 수지로써는 아크릴 우레탄수지(acrylic urethane resin) 또는 알키드수지(alkyd resin) 등이 사용되는데 그라비어 코팅(gravure coating) 방식으로 도공된다(그림 1의 B).
최근에는 종이에 목리의 도관구(vessel line: 도관의 내강에 의한 생긴 미세한 홈)를 발액성(撥液性) 잉크로 인쇄하고 그 위에 코팅된 수지가 그 부분에서만 덮이지 않도록 하여 凹凸 느낌을 나타내게 하는 방식이나 단색의 시트 표면에 나무갗 또는 목리의 도관구가 눈에 띄도록 인쇄하는 방식을 통해 凹凸이 있는 재질감을 갖도록 하여 천연 목재에 가까운 사실적인 의장(意匠) 표현을 부여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 있다. 티타늄지는 80∼150g/㎡정도의 원지로써 화장판의 제조에 적합한 성질과 후가공성 및 내구성 등의 측면에서 볼 때 은폐성, 내광성, 내열성, 내약품성 등에서 우수한 성질을 지니는 것이 요구되며 고압 또는 저압 멜라민수지 화장판, 폴리에스테르수지 화장판, 디아릴프탈레이트수지 화장판에 이용되고 있다.

<다음호에 계속됩니다.>
국민대학교 임산생명공학과 엄영근 교수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