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 대단면집성재: 구조용 집성재 가운데 짧은 변이 15㎝ 이상 그리고 단면적이 300㎠ 이상인 것을 일컫는다.
f. 중단면집성재: 구조용 집성재 가운데 짧은 변이 7.5㎝ 이상 그리고 긴 변이 15㎝ 이상인 것으로 대단면집성재 이외의 것을 일컫는다.
g. 소단면집성재: 구조용 집성재 가운데 짧은 변이 7.5㎝ 미만 또는 긴 변이 15㎝ 미만인 것을 일컫는다.

 

그림 1. 수평적층집성재(A)와 수직적층집성재(B)

③ 하중 방향에 따른 분류(그림 1)
a. 수평적층집성재: 지간거리의 방향과 접착면(적층면)의 방향이 서로 일치하도록 제조된 집성재를 일컫는데 라미나의 폭을 넓게 하기 위해 측면접합을 실시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집성재는 수평적층형으로 제조된다.
b. 수직적층집성재: 지간거리의 방향과 접착면(적층면)의 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제조된 집성재를 일컫는데 만곡형의 집성재로의 제조가 곤란하고 라미나 측면접합 부위의 접착층이 전단응력에 충분히 견디어야 하나 측면접합 부위의 접착 성능면에서 신뢰도가 떨어지는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는 단점을 지닌다.

④ 구성과 배치에 따른 분류
a. 동일등급구성집성재: 구성 라미나의 품질이 모두 동일한 구조용 집성재로써 라미나의 적층수가 2~3매인 경우 보처럼 높은 휨강도가 요구되는 곳에 사용될 때에는 휨 하중의 방향이 접착면(적층면)에 대해 평행하도록 작용되는 것을 일컫는다.
b. 이등급구성집성재: 구성 라미나의 품질이 동일하지 않은 구조용 집성재로써 보처럼 높은 휨강도가 요구되는 곳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휨 하중의 방향이 접착면(적층면)에 대해 직각이 되도록 작용되는 것을 일컫는다.
c. 대칭구성집성재: 이등급구성집성재 가운데 라미나의 품질 구성이 중립축에 대해 대칭을 이루는 것을 일컫는다.
d. 비대칭구성집성재: 이등급구성집성재 가운데 라미나의 품질 구성이 중립축에 대해 대칭을 이루지 못하는 것을 일컫는다.
e 특정대칭구성집성재: 이등급구성집성재 가운데 라미나의 품질 구성이 중립축에 대해 대칭을 이루는 한편 휨강도를 우선시하여 라미나를 구성한 것을 일컫는다.
⑤ 사용 환경에 따른 분류
 a. 수장용(조작용) 집성재(한국산업규격, KS)
   i) 사용 환경 1: 온도 20℃ 및 상대습도 65%(연간 이를 초과하는 습도는 수주일 이내로 제한됨)의 환경에 노출되는 목재의 평형함수율에 상응하는 것으로써 침엽수 목재의 평균 평형함수율은 12%를 초과하지 않는 사용 환경을 일컫는다.
   ii) 사용 환경 2: 온도 20℃ 및 상대습도 85%(연간 이를 초과하는 습도는 수주일 이내로 제한됨)의 환경에 노출되는 목재의 평형함수율에 상응하는 것으로써 침엽수 목재의 평균 평형함수율은 20%를 초과하지 않는 사용 환경을 일컫는다.
   iii) 사용 환경 3: 사용 환경 2보다 높은 평형함수율 상태를 초래하는 사용 환경을 일컫는다.

  b. 구조용 집성재(일본농림규격, JAS)
    i) 사용 환경 A: 함수율이 장기간 연속적으로 또는 단속적으로 19%를 초과하는 환경, 직접 외기에 노출되는 환경, 태양열 등에 의해 장기간 연속적으로 고온에 이르게 되는 환경, 구조물의 화재시에도 고도의 접착성능이 요구되는 환경 등에 있어서 접착제의 내수성, 내후성 또는 내열성에 대해 고도의 성능이 요구되는 사용 환경을 일컫는다.
    ii) 사용 환경 B: 함수율이 가끔 19%를 초과하는 환경, 태양열 등에 의해 가끔 고온에 이르게 되는 환경, 구조물의 화재시에도 고도의 접착성능이 요구되는 환경 등에 있어서 접착제의 내수성, 내후성 또는 내열성에 대해 통상의 성능이 요구되는 사용 환경을 일컫는다.
    iii) 사용 환경 C: 함수율이 가끔 19%를 초과하는 환경, 태양열 등에 의해 가끔 고온에 이르게 되는 환경 등에 있어서 접착제의 내수성, 내후성 또는 내열성에 대해 통상의 성능이 요구되는 사용 환경을 일컫는다.
  
  ⑥ 포름알데하이드 방산량에 따른 분류(일본농림규격, JAS)
  a. F☆☆☆☆: 평균값 0.3㎎/L 이하, 최대값 0.4㎎/L 이하인 집성재.
  b. F☆☆☆: 평균값 0.5㎎/L 이하, 최대값 0.7㎎/L 이하인 집성재.
  c. F☆☆: 평균값 1.5㎎/L 이하, 최대값 2.1㎎/L 이하인 집성재.
  d. F☆S: 평균값 3.0㎎/L 이하, 최대값 4.2㎎/L 이하인 집성재.

 

<다음호에 계속됩니다.>
국민대학교 임산생명공학과 엄영근 교수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