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목 저목장, 인천 3개 부지 중 가장 큰 경인아라뱃길 투기장 요청
지난해 협회의 H2등급 방부목재 판매 유통기간 연장 반대 입장 ‘동의’
산림청 정책에 대해 협회 회원사들 만족도 ‘보통’

본지는 지난 2월 26일 대한목재협회 제8차 정기총회에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협회는 총 166개 회원사가 가입된 단체로 약 8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응답 32건을 보여 약 40%의 응답률을 얻을 수 있었다. 설문조사 결과 업계에서 가장 현안이 되는 사안을 묻는 질문에 1위가 ‘원목 저목장 부지 확보 어려움’, 2위가 ‘하역료 인상’, 3위가 ‘품질표시제 대응’, 4위가 ‘공동 건조장 및 공동 시설 부재’, 5위가 ‘FTA 체결 증가에 따른 목재 수급’으로 조사됐다.
이번 정기총회에서는 원목 저목장 확보를 위한 호소문이 발표됐을 만큼 가장 긴급한 사안은 땅 문제임이 나타났다. 협회는 정기총회 호소문을 통해 “인천 원목장의 존폐 여부는 목재업계 종사자들의 사활이 걸린 문제이며 원목 저목장 확보는 목재업계의 생존과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사항”이라고 강조했다. 협회는 북항 저목장 확보 방안으로 청라 투기장, 북항배후부지단지 내 화물차 주차장, 경인아라뱃길 투기장 중 1곳을 원목 저목장으로 확보하기 위한 (안)을 제시했다. 청라 투기장은 면적 17만㎡이고 북항배후부지단지 내 화물차 주차장은 4만2천㎡이며 경인아라뱃길 투기장은 82만8천㎡으로 이중 부지가 가장 넓은 경인아라뱃길 투기장을 우선순위 1번으로 두고 인천 관계기관에 설득을 지속하고 있다. 또한 지난해 협회가 H2등급 방부목재의 유통기한 연장 ‘반대’ 입장을 표명한 것에 대해 1위가 ‘그저 그렇다’ 2위가 ‘만족’ 3위가 ‘매우 만족’으로 나타나 대체로 협회의 공식 입장에 대해서는 나쁘지 않은 평가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한목재협회는 “H2등급 방부목재의 판매 유통기한 연장 요구는 불량품의 유통을 눈감아 달라는 요구와 같기에 올바른 목재문화 정착을 위해서는 반대 입장”이라는 의견을 제시한바 있었다.
또한 대한목재협회에서 해결해야 할 현안에 대해서는 1위가 ‘목재법 애로사항 해결’, 2위가 ‘대국민 목재에 대한 홍보’로 나타났는데, 목재법 애로사항 해결은 현재 목재제품의 규격과 품질기준 고시 시행에 따라 품질표시 방법, 등급에 따른 품질기준, 시험검사와 같은 사항 뿐만 아니라 고시에 대한 회원사의 적극적인 홍보와 계도 등을 협회가 앞장서 해결해 주길 바라는 마음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그밖에도 산림청의 현재 정책에 대한 만족도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공동 1위로 ‘그저 그렇다’와 ‘불만족’이 나타났고 2위가 ‘만족’으로 산림청 정책에 대해서는 각 업체들마다 생각하고 있는 견해가 다양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목재산업시설 현대화사업에 대한 평가 항목에 대해서는 ‘만족’과 ‘그저 그렇다’ 각각 46%와 34%를 차지해 대체로 목재산업시설 현대화사업 정책에 대해 긍정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올해 목재산업시설 현대화사업은 총 102억원으로 전국 총 51개소가 배정됐다. 그중 인천 서구는 10개소(총 사업비 20억원)로 개소당 사업비 2억원(자부담 6천만원 포함)을 지원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협회가 지난해부터 시작하고 있는 ‘유통질서 확립을 위한 공익캠페인’을 본지와 함께 공동 실시하고 있는데 대해 ‘그저 그렇다’와 ‘만족’이 각각 56%와 43%씩 나타나 올바른 목재제품 정착을 위한 협회의 노력에 대해 긍정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외 하고 싶은 말을 적는 부분에서는 ‘원목 저목장 확보를 위해 협회가 적극 나서달라’, ‘각 업체마다 현대화사업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적극 홍보 해달라’, ‘현대화사업 자금 확대를 위한 협회의 노력이 가장 중요하다’, ‘남양재 원목의 경우 해외 수입분이 대부분이고 그중 인천에 들어오는 물량이 전국에서 70%를 차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원목을 적재하는 야적장이 불시에 없어지면 남양재 수입업체의 고사는 물론 수도권의 남양재 제재소들은 원자재를 구매할 수 없어 이는 우리나라 목재산업 전반이 무너질 위기에 있다. 따라서 남양재 산업을 위해서 가능한 빠른 시일내에 원목을 야적할 수 있는 장치장의 확보가 시급하다. 협회에서 이를 적극 이해해 관계기관과 접촉해 해결방안을 마련 해달라’ 등의 의견이 제시됐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