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목재신문 이명화 기자

산림청의 올해 예산이 전년 대비 1.8% 증가했다고 하지만, 목재산업 정책 예산은 전체에 10%에 불과하다. 목재산업과는 임도 시설 확충, 임업기능인 양성, 목재생산기반 조성 등에 예산을 편성했다.
불과 1,947억원이라는 예산안에서 가장 큰 비중은 임도 시설이 72%를 차지하고 업체들이 실제 피부로 와닿는 정책은 고작 목재산업시설 현대화사업 뿐이다.  
목재산업과는 목재산업 육성, 목재문화 활성화, 목재제품 품질관리, 목재·제지산업 국가표준 관리 등의 업무를 한다고 한다. 하지만 여기에는 ‘기술 개발 투자’에 대한 부분이 빠져 있다. 예산 현황만 봐도 목재 기술 개발을 위한 예산은 어디에도 없다. 
현재 목재 회사들이 새롭게 신규 창업을 하고 제품 종류도 많아지고 있는데, 업체들은 날로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다. 
공급 과잉과 수요 부족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결국 목재 산업체들만이 갖고 있는 독자적인 기술로 고부가가치 제품이 생산돼야 하고 이것이 수출로 이어져 국내 목재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올해 1분기를 지나며 업체들에게 가장 뜨거웠던 관심사는 바로 목재산업시설 현대화사업이다. 취재를 하다보면 지자체 어디에서 시행하는지, 지원 금액은 얼마인지, 언제까지 신청을 해야 하는지, 본인들도 지원 대상에 해당하는지를 궁금해 했다. 일부 회사는 산림청 지원으로 목재 건조기를 가동했고 그 뒤를 이어 많은 회사들도 현대화사업 혜택을 받게 된다. 
산림청은 시설이나 장비에 대한 예산 집행은 하고 있지만, 목재산업 육성을 위해 가장 필요한 기술 개발에 대한 투자 지원이 없다. 물론 임도 시설을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목재 산업계가 직접 피부로 와닿지 않는 정책은 구호만 외치는 셈이다. 
현재 산림과학원과 업체들의 기술 개발과 기술 이전이 이뤄지고 있듯 산관·산연의 연구가 활성화돼 우리만의 세계적인 기술을 만들어 목재가 수출산업으로써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줘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기술로 수출 판로를 가질 수 있게 산림청의 적극적인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 산림청이 그동안 늘 해왔던 정책 대신 목재 기술 개발 투자에 대한 지원금을 늘려 업체들이 실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정책이 시급히 마련되길 바래본다. 
정책이 끌어주고 산업체가 밀어주는 시스템이 정착된다면 국내 목재제품도 해외시장에 얼마든지 수출할 수 있는 시장이 만들어질 것이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