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서부 산림지대
미국 서부는 광대한 목초지와 험준한 산령, 해안 산림지대, 내륙 산림지대, 사막성 고원, 급류천, 태고적 자연 호수, 방대한 강 등으로 특징지워 지는 곳입니다.
미서부는 또한 세계에서 가장 풍요로운 공용 및 사용, 산업용 및 비산업용 목재생산지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이곳 산림중 수백만 헥타르에 달하는 지역이 영구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상업용 벌목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목재생산량이 각 산림지대마다 일정하게 정해져 있는 사유림 및 공유림에서의 벌목은 카운티와 주, 연방정부의 환경법이나 토지관리법으로 규제를 받고 있습니다. 이밖에도 오레건, 워싱턴, 캘리포니아, 아이다호 주 등 목재생산 중심지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철저한 주 산림관리법과 최상 산림관리법의 적용을 받고 있습니다.

이들 규제법은 멸종위기에 처한 수종의 자생지와 분수령, 토양, 생태계, 보건 및 다양성을 보호하고 일정 기간 동안 그 지역 고유수종 재식목을 의무화하기도 합니다 (오레건 주에서는 1년 내, 그밖의 주에서는 3년 내).

상업적으로 중요한 침엽수 21종 이상이 미 서부지역의 토착종입니다. 그중에서도 여러 종의 트루 퍼 (Abies species)와 함께 솔송나무 (Hem-Fir)로 판매되기도 하는 더글러스 전나무 (오레건 소나무), 웨스턴 라치, 웨스턴 헴록이 있으며, 폰데로사 및 롯지폴 소나무, 슈가 파인, 아이다호 (또는 웨스턴) 화이트 파인, 4종의 시더 (인센스, 웨스턴 레드, 포트 오포드, 알래스칸 옐로우), 캘리포니아 레드우드, 엥겔만, 시트카 스프루스 등이 있습니다. 여기에는 이중에서 일부 수종만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목재 등급
서부산 수종은 엄격하게 정해진 목재등급에 따라 수백종의 목재제품으로 제조 판매되고 있습니다. 등급을 정하는 기준은 각 제품 구분상의 편의와 목재 품질을 결정하는 분명한 척도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난 백여년에 걸쳐 발달되어 왔습니다. 수종과 목재등급은 최종 용도에 따라 다음과 같은 범주로 넓게 구분될 수 있습니다.

  - 구조용 목재 : 
     프레임 및 건축용 자재로서 하중지탱 및 하중운반 능력에 따라 등급이 매겨집니다. 수종분류는 목재의 디자인을 간소화시켜 줍니다. 보다 상세한 사항은 구조용 목재를 참조하십시오

  - 외관용 목재 :
     외관상의 특징에 따라 등급이 정해지는 제품으로, 거의 무절에 가깝고 (near clear) 결함이 전혀 없는 목재에 최고 등급이 주어집니다. 외관용 목재는 개별 수종으로 판매되거나 여러 수종을 특징적으로 혼합하여 출하되기도 합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사항은 외관에 따라 등급이 결정되는 목재를 참조하십시오.

  - "팩토리 앤 숍" 목재 : 
    문짝이나 창문, 가구 등의 제품으로 재가공하는데 적합한 정도에 따라 등급이 정해집니다. 이 등급 결정의 기준은 등급이 매겨진 목제품에서 회수할 수 있는 제재목의 백분율에 따라 결정됩니다. 보다 상세한 사항은 재가공 목재를 참조하십시오.

  - 캘리포니아 레드우드 등급 :
    캘리포니아 북부와 오레건 남부에서 상업적으로 재배되는 "Sequoia sempervirens"라고 불리는 수종에만 적용됩니다. 레드우드 목재등급은 외관과 내구성에 따라 결정됩니다. 보다 상세한 사항은 캘리포니아 레드우드를 참조하십시오. 

  - 수출용 특수 등급 :
   대다수 제조업체에서는 각 수출대상국 고유 등급과 요구조건에 따라 등급과 규격을 달리 정하고 있습니다. 이 책자에서 사용되는 모든 등급은 국제 목재시장에서 광범위하게 인정되는 기준을 따르고 있습니다. 이밖의 수출등급은 매매자 쌍방의 합의에 따라 결정될 수 있습니다.



목재생산 초기에는 독립적 등급기관이 각자의 지역에서 생산되는 목재에 대한 등급을 결정해 왔습니다. 그러나 현대적 건축관행과 건축 의무조항이 발달됨에 따라 등급과 치수에 대한 표준화가 가속화되어 1970년 초부터는 치수 목재에 대한 전미등급규정 (National Grading Rule for Dimension Lumber, NGR)이 정해지고 수종별 그룹으로 묶여지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특수용도 및 외관 등급 목재와 같은 비구조용 목재는 여전히 각 지<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