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목재신문=윤홍지 기자]

산림청은 우리나라 산림을 산림녹화 성공의 세계적 자랑이자 모델이라고 자평한다. 해방이후 전쟁을 겪으면서 벌거벗었던 산을 온 국민이 힘을 합해 푸른 산으로 만들어냈다. 푸른 산을 만들기 위해 매년 수백만 그루를 조림해 왔고 입산금지와 낙엽채취금지, 산불예방노력 등을 통해 푸른 산을 지켜 온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아쉽게도 껍데기만 푸른 산이다.

나무는 심은 지 30년이 지나면서부터 이산화탄소 흡수 능력이 감소한다. 한국의 산림은 이미 4영급 이상의 산림이 대부분이다. 조림은 했으나 육림을 하지 않고 대부분 방치돼 있다. 산주에게 나무를 베어 수입이 됐다면 벌채하고 다시 심었을 것이고 늙은 산림은 되지 않았을 것이다.

산림조합은 2019년도에 벌채 후 사후정산을 위한 5개 지역에서 시범사업을 했다. 시범사업을 통해 분석한 자료를 보면 5개 벌채지역 22.81헥타르에서 벌채한 목재판매 총수입은 288백만 원 정도였다. 헥타르 당 1,260만 원 정도의 목재판매 수입이 생겼다. 여기서 장비임차료, 노무비, 운반비 등 벌채관련 비용을 빼면 산주는 헥타르 당 163만원을 받는 것으로 분석됐다. 50년 정도 된 산림에서 헥타르 당 163만원의 수익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는 헥타르 당 1년에 3만3천원의 수익이 발생한 셈이다. 산주들이 목상에게서 제시받은 가격은 더 낮다. 목상이 제시한 가격은 헥타르 당 112만원이다. 그나마 산림조합이 하는 사후정산을 하면 49% 정도 산주에게 더 수익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것은 작은 모델일 뿐 공통적으로 적용하기는 무리가 있다.

5개 임지 22.81 헥타르를 대상으로 벌채비용을 분석해보면 장비임차료가 48%를 차지하고 그 다음이 노무비가 25%를 차지한다. 그 다음이 운반비로 22%를 차지한다. 장비가 좋아지면 노무비가 줄어든다. 산주에게 사후정산을 진행하게하고 장비임차료를 줄여주는 정책을 쓰면 산주의 이익이 높아질 순 있다. 그래도 조림을 해서 수익을 기대하는 것은 어렵다. 5개 임지에서 용재비율이 9% 정도이고 수익 면에서는 13%를 차지한다. 즉 용재비율을 획기적으로 높이지 않으면 산주의 수익은 기대하기 어렵다는 말이다. 임도비율과 용재비율을 높이고 벌채비용을 최소화해서 30년 이상 가꾸어서 소득을 기대할 수 있어야 목재생산을 할 수 있는 산림이 된다. 가꾸지 않고 방치하면 헥타르 당 1년에 3만3천원밖에 기대할 수 없는 껍데기만 푸른 산을 면할 수 없다.

경제림이나 용재림을 키우기 위해서는 정부가 산림소유주에게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산림 내에 작은 집을 짓게 해주고, 이산화탄소저감에 대한 보상을 해주고, 단기임산물재배가 가능한 복합임업이 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정책이 있어야 한다. 코로나19로 인해 목재수급에 비상이 걸리고 목재 값이 치솟는 데도 우리나라 산의 목재 값은 요지부동이다. 전혀 다른 세상의 목재로 취급받는 상황인 것이다. 그만큼 제재에 기반을 두는 산업에서 원료로써 매력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가장 큰 이유는 공급 불안정이다.

불행하게도 국산 활엽수는 산지에서 톤당 단가로 취급받는다. 굵은 참나무도 펄프재나 장작으로 밖에 사용하지 않는다. 수많은 고가의 활엽수 용재들이 제재소에 닿지도 못하고 연기로 사라져 버린다. 현재 수많은 목공예 전문가들이 생활용품에서부터 테이블이나 가구까지 국산재를 찾고 이용하고 있지만 정작 불행히도 제도적 공급은 막혀있다.

산림청은 껍데기만 푸른 산에서 속까지 알차 쓰임새 있는 푸른 산을 만들어야 한다. 침엽수 경제림 조성과 활엽수의 자원화를 통해 산주에게 희망을 주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