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목재신문=윤형운 기자]

목재 수입의존도가 85%인 상황인데도 좀처럼 가라앉지 않은 ‘벌채논란’을 바라보는 목재산업 종사자의 시선은 따갑기만 하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목재공급관련 전문가들의 수요와 공급예측이 빗나가면서 6개월 이상 극심한 공급부족과 가격폭등을 겪었고 설상가상으로 선박을 못 구해 목재가 제때 들어오지 않아 국내목재산업은 초유의 위기를 겪고 있는 중이다. 지금도 일부 품목은 수입차질을 빚고 있고 폭등한 가격에 시달리고 있다고 한다. 폭등한 목자재 가격은 마루판, 포장재, 건설자재, 인테리어자재 등 제품의 원가상승의 요인이 돼 납품현장에서 가격인상을 반영해 달라고 사활을 건 협상이 진행되고 있지만 건설사의 반응은 느리기만 하다.

이런 상황에서 국산재가 완충 역할을 해야 하는 데 그렇지 못하다는 평가다. “국산 목재의 제재비율이 13% 정도 밖에 안 돼 건설이나 포장재로의 수요를 감당하지 못하고 있고 쓰려고 해도 가격이 제각각이며 양을 맞출 수가 없다”고 포장재 자재납품 전문회사는 K대표는 말했다. 또 그는 “현재 상황에서 제재목 비율을 높여 달라고 하는 것 자체가 어렵다는 것을 잘 안다. 지금 우리산림 자체가 조림한지 40~50년 됐으나 제재 용재로 성장하지 못한 나무들이 대부분이다. 경제림으로 심지도 않았고 가꾸지도 않아서 더 키워봐야 제재할 용재가 되지 않는다”고 했다. 일부 환경운동가들이 벌채를 하지 말고 그대로 두어서 더 키우자고 주장하는데 이는 잘 가꾸어진 숲을 두고 할 수 있는 말이지 방치된 산림을 두고서 해야 할 말은 아니다는 입장이다. 시간이 더 지나도 꽁치가 고등어 되지 않는다고 말한다. 임업후계자협회 유부회장은 “산은 보전해야 할 임지와 경제림으로 조성해 매년 벌채를 해 우리가 사용해야할 목재를 조달해 야할 임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기후변화 대응 이산화탄소 감축에 있어서도 자국의 산림에서 지속가능하게 순환이용이 매우 중요해 불량림을 경제림으로 시급히 전환해야 한다. 우리 산림에서 목재를 이용하지 않으면 매년 수 조억원의 목재를 수입해 와야 하는 데 경제림 조성을 위한 벌채를 반대하면 그건 어떻게 하라는 거냐”고 반문했다.

국산재를 제재해 본 경험이 있는 C대표는 “국산목재가 수입목재에 비해 수율 면이나 가격 면에서 장점이 있어야 하는 데 그렇지 못한 실정이다. 수입재보다 나으면 당연히 쓰지 말라 해도 쓸 것이다. 경제림 조성을 통해 양질의 목재가 좋은 가격으로 생산돼야 국산재의 이용이 본격화 될 것이다. 하지만 매년 일정한 목재를 공급하려면 불량림을 벌채하고 경제림을 조성하는 일들을 지속가능하게 해주어야 한다. 지금보다 후대에는 국산목재로 일정 비율을 부가가치 높은 품목에 이용할 날을 만들어 주어야 하는 것 아니냐”고 했다.

유럽의 산림정책에 대해 깊이가 있는 노대표는 “유럽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목재이용을 두고 다양한 의견이 있다. 최근에는 2030년까지 30억 그루 나무를 심기, 목재제품의 순환이용으로 장수명화, 2026 년까지 전기생산만을 위한 바이오매스발전금지, 품질 좋은 원목과 그루터기 및 뿌리의 에너지 원료 사용금지, 토양과 산림의 탄소흡수능력 증대 등의 정책을 발표했다.

나무심기와 목재이용의 구체적 실행방안을 포함한 노력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고 했다. 한 목재전문가는 “세계목재생산량의 반은 연료용 목재이고 반이 산업용이다. 이중 25% 정도가 제재용이고 나머지는 펄프 (10%), 목질패널(16%), 펠릿(5%), 재생용지(10%), 종이와 판지(20%) 등에 사용된다.

벌채를 통해 다양한 사이즈의 원목들이 생산되고 이용된다. 세계식량기구(FAO)에 따르면 이들 임산물의 가치는 280조억원에 달한다. 모두 벌채과정을 통해 생산되는 원목을 가공해 나온 필수제품들이다. 목재는 석유(플라스틱), 시멘트, 철처럼 안 쓸 수 없는 자원이다. 벌채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사고를 바꾸어야 한다. 목재이용은 대체 불가능한 필수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 일부 잘못된 벌채를 문제 삼아 벌채 자체를 죄악시하는 논쟁은 사라져야 한다. 말도 안 되는 억지주장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