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목재신문=한국목재신문 편집국]

몇 년 사이 기후변화의 강도가 눈에 띄게 달라지고 있다. 기습적인 폭우로 인해 수많은 인명피해와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산불의 횟수와 범위가 상상을 초월했다. 태풍과 한파, 가뭄과 홍수로 인한 재해들이 세계도처에서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중남미에서는 7월에 눈이 내리는 현상이 발생했고 북미지역 중 캘리포니아주 데스밸리 지역의 온도는 54.4도까지 치솟았으며 캐나다는 폭염으로 700명 이상이 사망했다. 또한 미서부지역은 서울면적 5배나 되는 산림이 불에 탔다. 2019년 호주 산불은 대한민국의 면적에 맞먹는 약 1,000만 헥타르가 탔다.

호주산불은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 때문에 건조한 땅이 형성됐고 유례없는 산불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100년만의 집중호우로 인해 독일 라인란트팔츠주 아르바일러 지역에서 110명이 사망하는 등 이상기후로 인한 재해는 “이제는 누구도 안전하지 않다”는 말을 실감케 한다.

뉴욕타임즈는 “전 세계 기후변화 늦출 준비가 미흡”하다는 경고를 하고 책임을 회피한 선진국들이 고스란히 그 무게를 감당하고 있다는 평을 내놓았다. 제19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에서 교토의정서를 이을 새 기후변화협약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지만 선진국들은 이를 거절하고 오히려 경제성장 중인 개도국이 탄소배출량을 줄여야 한다고 압박하면서 비난이 거세졌다. 기후변화 대응은 나라마다 입장의 차이가 있지만 이제는 과학계의 경고를 소홀히 하면 안 되는 중차대한 시점이 됐다. 과학계의 의견에 따르면 지구 평균 기온 상승을 섭씨 1.5도 이하로 제한해야 하고 2030년까지 전 세계 탄소배출량을 절반으로 줄여야 한다는 경고를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유럽은 탄소국경세를 도입해 제품의 탄소배출량에 일종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안을 내놓기도 했는데 수출국에서 이 안에 대해 세계무역기구에 제소하는 등 반발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 즉 배출 탄소와 저감탄소가 제로가 되는 목표를 세웠고 이를 천명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탄소중립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들이 세워지고 있고 산림청도 한국목재공학회에 의뢰해 “탄소중립 2050을 위한 목재분야 정책 포럼”을 3차에 걸쳐 진행 중이다. 탄소중립과 관련된 국가 정책을 살펴보면 목재를 이용해 이산화탄소 배출을 억제하겠다는 정책은 미미하기 짝이 없다. 이산화탄소배출이 가장 많은 건축에 목재를 많이 쓰려는 선진국들의 정책을 이해조차도 못하고 있다는 느낌이다. 하지만 그렇게 된 배경에는 목재산업에 관련된 기관, 대학, 연구, 기업이 탄소관련 목재이용정책 개발을 게을리 한 점도 무시할 수 없다. 프랑스의 공공건물 목재사용의무, 캐나다의 목재우선이용, 일본의 목재의무사용과 탄소저장량 표시 등 탄소중립을 위해 목재를 이용할 갖가지 근거들을 제도화하고 인증하는 준비가 부족한 것도 사실이다.

산림에서 제재용 목재비율을 높이는 방안, 신규건축이나 리모델링시 목재사용을 의무화 하거나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 공공건축물의 목조화 방안, 벌채목의 장수명화를 유도하는 기술개발과 상품개발 등을 끌어주는 정책아이디어와 이를 구체적이고 지속적으로 서포트 해줄 ‘탄소중립 목재이용 위원회’를 구성할 것을 산림청에 제안한다. 산림청은 포럼에서 나온 내용으로 탄소중립 목재이용 정책을 살펴 보돼 다시 전문가들의 심도 있는 논의를 통해 집약적 의견과 실행이 되도록 ‘탄소중립 목재이용 위원회’를 조직하고 예산을 확보해서 활동속도를 높여 결과물로 건축, 에너지, 생활문화시설에서 목재이용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한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