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목재신문=한국목재신문 편집국]

산림청과 임업인의 입장에서 환경단체의 엄청난 벌채저항은 지금까지 한 번도 겪어보지 못한 전례 없는 파장이었다. 환경연합을 비롯한 환경단체의 ‘싹쓸이 벌채’ ‘오래된 나무가 탄소흡수를 많이 한다’ ‘전 국토의 72%를 벌채한다’ ‘30년이 지나면 더 잘 자란다’ 등과 같은 주장은 임업인들의 터무니없는 분노를 유발했다.

환경단체의 시각은 국민의 정서를 자극하는 것인데 비해 산림청과 임업인의 시각은 국민의 눈높이와는 거리가 있어 그 괴리만큼 파장이 컸다.

임업과 목재산업의 외침은 국민들의 귀에 들어오지 않는다. 지금까지 산림의 공익적 가치가 220조에 달하고, 세계가 인정한 산림녹화 성공국이며, 산림환경과 생태보전 홍보를 벌채나 목재이용보다 수백 배 해왔던 무수한 시간들을 감안하면 벌채나 영급개선 더 나가서는 탄소중립이라는 말들을 국민들이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당연한 정서아닌가 싶다. 특히 ‘30억 그루 나무심기’라는 어마어마한 숫자에 마치 우리 산림을 다 베어내고 나무심기를 전투적으로 한다는 것으로 받아드릴 수 있음을 감안하면 산림청의 정책발표는 여러 차례의 예방주사가 필요했다. 대한민국은 15%만이 목재를 자급하고 나머지 85%는 수입에 의존한다.

내 나라산림에서 15%만 벌채해 이용하고 나머지는 다른 나라의 산림에서 벌채된 목재를 사용한다는 뜻이다. 매년 2,200만 입방미터, 5톤 트럭으로 110만대(5톤 트럭 당 20입방미터 가정)분에 달하는 다른 나라 숲에서 벤 목재를 사용한다. 1970년부터 지금까지 추산하면 5톤 트럭으로 5,600만대에 해당하는 엄청난 양의 목재를 다른 나라의 숲에서 조달해 왔다.

이 양은 우리나라 산림의 축적량 모두를 합한 양보다 많다. 기후변화를 대처하고자 하는 탄소중립목표라는 전 지구적 대처는 내 나라 산림 따로 다른 나라 산림 따로는 분명 아닐 것이 다. 지속가능한 자원인 목재를 분별있게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목재를 다른 자원으로 대체해 사용하는 것은 기후변화에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 철이나 플라스틱, 콘크리트는 목재를 대체하는 자원으로써 이산화탄소 발생을 따져보면 상대가 되지 못한다. 유럽이 목조빌딩을 짓고 목조건물의 공공시설 의무화, 목재우선이용 등등의 정책들은 건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줄이기 위한 최선의 선택이기 때문이다.

환경단체는 “벌채하지 말고 그대로 두면 숲에 탄소저장량이 늘어서 지구환경에 도움이 되는 것 아니냐”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벌채를 죄악시 한다. 그런 사고라면 오늘 당장 휴지 한 장, 종이 한 장 쓰지 않을 각오를 해야 하며 종이박스 소포를 받고 즐거워해서는 안 된다. 지금은 어느 때보다 숲을 잘 가꾸어 가면서 순환 벌채하는 산림경영이 중요하다. 목재를 안 쓸 수 없기 때문이다. 전 세계는 매년 약 40억 입방미터의 목재를 사용한다. 우리나라 산림의 4배나 되는 양이다. 그 중 땔감이 50%를 차지하고 종이나 건축, 가구 등 생활에 필요한 소재로 이용된다. 우리 숲에서 생산하지 못하는 목재는 다른 나라 숲에서 베어서 쓸 수밖에 없다.

결과적으로 탄소흡수량도 늘리고 탄소저장량도 늘려야 한다. 결국 조림과 육림에 과감한 투자를 해야 한다. 그냥 두는 산림보다 인공조림해 계획·관리하는 산림의 탄소저장량이 4.5배 이상 높다는 사실은 일본의 60년 인공조림 역사를 통해 검증된 사실이다. 더 이상 자라지 못하는 불량 숲, 벌기령에 달한 숲에 대한 벌채에 더 이상 시비를 걸지 말아야 한다. 덧붙여 임업이 정상화되려면 벌채 인프라투자 즉, 벌채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여주지 않고서는 앞으로도 수십 년은 어떠한 개선도 바라지 말아야 한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