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목재신문=윤형운 기자]

<①에서 계속>

일본농림수산성 자료 : 합판과 제재용 원목 공급이 많은 일본 국산목재 이용 현황.

목공이나 가구를 하는 분들이 국산 활엽수재를 이용하려면 발품을 팔아서 구해야 하고 이들 소재를 사용하려면 수많은 가공 공장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쉽지가 않은 환경이다. 자급률을 높인들 저급이용을 막을 수 있어 보이지 않는다. 제재이용 가능한 원목을 저급으로 이용하는 것에 대해 산림청의 강력한 이용제한 정책이 필요한 대목이다.

니폰닷컴에 따르면 우리나라와 달리 일본의 목재자급률은 지난 10년 동안 꾸준히 상승해 왔으며 2020년에는 약 반세기 만에 처음으로 40% 수준으로 회복됐다 한다. 농림수산성의 일본 산림경영연보에 따르면 일본 국내의 목재자급률은 2020년 41.8%에 달한다고 발표했다. 1955년에는 96.1%에 불과했으나 이후 값싼 수입목재의 증가로 그 비율이 꾸준히 떨어졌다가 2002년에는 18.8%로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최근에 임목축적량 증가로 수확할 여건이 더 좋아졌다. 탈탄소화 전환의 일환으로 바이오매스 발전에 사용되는 우드칩을 비롯한 연료수요 증가가 국내목재공급을 더욱 증가시켰다. 2011년 이후 10년 동안 자급률은 지속적으로 상승했다. 이 비율이 40%를 마지막으로 넘은 것은 48년 전인 1972년이었다. 일본의 2020년 목재 총수요는 7,440만 입방미터였다. COVID-19 전염병으로 주택수요가 감소해 이 총 수치는 2019년보다 750만 입방미터가 감소했다.

일본의 국산재 이용 현황 그래프를 보면 합판과 제재목으로 이용되는 비율이 약 40%를 육박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합판용 원목공급은 전무하고 제재목용 원목공급은 11.1% 정도다. 활엽수의 제재이용은 전무하다시피 한다. 대부분 펄프, 땔감, 숯, 표고자목으로 사용된다. 제재공정을 거쳐 가구나 생활용품으로의 국가적인 공급은 없다고 보아야 하고 공방수준에서 발품을 팔아 소재를 구하는 실정이다. 일본은 경제림 조성에 성공해 목재공급위기시대에 빛을 발하고 있고 우리나라는 그렇지 못하다는 관계자들의 지적이 있다. 제재용 목재등급이 나아지지 못하는 이유도 경제림조성이 실패한 결과라는 주장이다. 목재인들은 앞으로 산림청이 경제림 조성정책에 획기적 변화와 실천이 없다면 이런 상황은 시간이 지나도 계속될 것이고 잦아지는 대형화재로 수확해보지도 못하고 재로 변하는 상황이 반복 될 것을 염려하고 있다.

산림정책이 경제림 조성을 등한시하고 환경, 생태, 보전에 치중해 산림을 국민의 휴양지, 생태학습장으로 만든 결과이기도 하다는 비판도 끊이지 않고 있다. “다른 나라에서는 탄소중립을 위해 콘크리트 건물을 목조로 대체하고 있고 자국의 목재를 적극 이용하고 있는 데 건축재료를 사용할 만한 목재가 공급되지 못하고 앞으로도 별다른 대안이 없어 참 답답하다”고 목재인들은 말한다.

“우선은 경제림 조성을 조성대로 하고 산림청이 소경목을 이용하는 기술개발과 장치개발에 대대적 투자를 해서 제재가공을 통한 국산재 이용대안을 만드는 게 시급하다. 적당히 하고 안 된다고 하지 말고 될 수 있도록 예산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는 전문가의 지적이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