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본적인 산불방지 대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다.

지난 식목일을 전후해 발생한 양양 산불에 대한 산림청 책임론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보다 근본적인 문제는 정부의 평소 무대책에 가까운 산불 대책이 화를 키웠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이번 산불은 지형이나 예상치 못한 돌풍 등 기후적 요건을 생각할 때 ‘어차피 막지 못할’ 산불이었다는 분석이다.

이는 그간의 우리 산림이 산림녹화에만 치중한 나머지 단순림을 밀식해 놓고도 숲가꾸기를 전혀 해놓지 않아 산불이 날 경우 그대로 불쏘시개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또 현재 우리 산림의 경우 산불확산에 대비한 혼요림이나 내화수림 조성이 전혀 돼 있지 않다는 것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하지만 이같은 적정밀도 유지를 위한 숲가꾸기나 혼요림, 내화수림 조성 사업비는 예산부처로부터 번번이 후순위로 밀리고 있다는 게 일선관계자들의 하소연이다.

아울러 산불에 대비한 평상시의 전문인력 양성이나 진화장비 확충 또한 정부의 무관심 속에 방치돼 있는 상황이다.

지난 96년 고성산불 이후 생겨난 산불통제관 제도는 불과 몇 년 후 정부조직개편에 따라 폐지된 지 오래며, 전국토의 70%에 육박하는 산림면적에도 불구하고 산불진화 지상 전문인력은 48명이 고작이다. 일선의 산불관련 조직 또한 날로 축소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불연구과 이명보 과장은 “현재 밀식돼 있는 산림을 적정 밀도를 유지할 수 있게 숲가꾸기를 해주는 한편, 단순림을 혼요림화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소나무숲 외곽이나 더 크게는 군과 군, 도와 도 경계에 혼요림이나 내화수림을 조성할 경우 산불의 속도를 크게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 같은 일에는 사업비가 필요하지만, 평상시에 가시적 효과를 낼 수 없는 이 같은 예산은 관계부처에서 번번이 후순위로 밀려나는 게 현실”이라며 “산불은 진화에 들어가는 비용의 십분의 일만 예방에 투자해도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숲가꾸기를 한 번에 할 수 없고 해마다 지속적으로 해야 하는 것처럼 산불예방 또한 종합적, 지속적으로 관리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편 산림청 산불방지과의 한 관계자는 “양양에서 헬기를 너무 일찍 철수시켰다는 지적이 있지만, 인접 고성지역에서 확대지원요청이 오고 양양은 지상인력이나 잔류 헬기로 진화가 가능한 상황이었다”며 “그러나 오후 들어 예기치 못한 돌풍이 발생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그는 또 “산불진화에 있어 무엇보다 필요한 것이 훈련된 전문 진화인력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항공관리소 지소당 6명씩 총 48명이 전부다”며 “이 같은 산불 전문 진화대 확대와 헬기와 같은 진화장비 확충에 대한 예산부처의 지속적 지원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서범석 기자 seo@woodkorea.co.kr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