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는 가뭄이나 홍수, 대형 산불로 식량 위기를 앞당겼고 바이러스는 보건 환경을 위협했다. 지구는 여전히 뜨거운 몸살을 앓고 있는 중이다. 건축재료 생산과 건축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줄이기 위한 대규모의 목조화는 이미 세계적인 추세가 됐다. 건축 분야에서 우리나라가 이산화탄소 감축을 국제적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자국산 목재 이용이 매우 중요하다.

우리나라는 2021년 약 450만㎥의 목재가 생산됐으나 제재로의 이용은 12.6% 남짓이다. 나머지는 부숴서 펄프나 중밀도섬유판을 만들거나 펠릿이나 발전소 연료로 사용된다. 2021년 일본이 2,184만㎥의 목재를 생산하고 이중 제재로 1,286만㎥, 합판으로 466만㎥, 목재칩으로 432만㎥ 사용했다. 제재 사용이 58%에 육박하고 합판 사용은 19.7%에 해당한다. 일본은 자국목재로 전체 합판 수요 중 국산 합판을 67.6%를 생산하고 이중 침엽수 합판은 98%를 생산한다. 한국의 이용실태와 너무도 다르다. 한국은 MDF 회사와 발전소가 물량확보를 위해 치열한 싸움을 하고 있다. 하지만 제재 이용률을 높이지 않고서는 국산재의 이용을 기대할 수가 없는 실정이다.

최근 벌채를 둘러싼 논란으로 대규모 벌채 허가를 기피하면서 국산 원목이 없어 아우성이다. 이산화탄소 감축을 위해 국산재의 이용이 더 많아져야 하지만 환경론자들의 반대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패널(IPCC) 6차 회의에서는 조림지를 늘리고 연료로의 사용을 억제하고 단계적인 목재 이용을 권장하고 나섰다. 단계적인 이용이란 제재를 하고 제품을 만드는 게 우선이며 제재 부산물로 보드를 만들고 이를 재사용하다가 재사용도 어려우면 그때 연료로 사용해 목재제품의 수명을 늘려서 저장된 탄소가 이산화탄소로 돌아가는 시간을 늘리자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나라는 이러한 국제사회의 권고에 대해 어떤 이용정책을 내놓을 건가? 아직 까지 이렇다 할 비전이 보이지 않는다. 제재 비율을 높이려는 투자는 일본의 노력에 비하면 정말 보잘 것 없다. 우리의 노력은 과제 몇 개 던져줄 정도에 그치고 있다. 일본 정부가 자국의 목재로 합판을 만들 때를 대비해 합판기계 회사에 오래 전부터 지원을 해왔다는 것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지금은 원목 이용률도 낮아졌지만 국산목재로 가공하는 양 자체가 적어쓸 만한 기계 제작 업체들이 대부분 사라져 버렸다. 목재 가공이용 체계가 무너지고 있다. 체계를 다시 일으켜 세울 때의 비용은 수배나 더 들며 회복을 장담할 수도 없다. 굵은 소나무 원목이 보드공장으로 직진하거나 굵은 참나무가 땔감으로 사용되거나 잣나무나 직경이 크지 않은 소나무는 이용조차 못 해보고 부수어서 칩으로 만들어 버리는 것이 대세인 우리의 현실이다. 이런 이용을 하려고 아무리 벌채를 많이 한들 그게 산주에게 무슨 소용이 있을까. 산주의 주머니가 두둑해져야 나무를 심고 가꾸고 베고 다시 심는 순환이용이 가능할 것 아닌가?

국산재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일은 산림청의 정책에서부터 시작한다. 양보다는 질을 높이는 정책을 개발해야하며 질과 양을 동시에 늘려 안정적인 양을 확보해주는 방향으로 전환돼야 한다는 것이다. 미이용 임산물이 아니면 발전소 연료로 사용되는 일을 막아야 한다. 특히 혼효림을 벌채하고 나면 수확되는 활엽수의 이용도 과감한 투자를 해야 한다. 기후변화 대응은 자연스러운 대응이 어려우니 상황에 따라서 보조금 지원을 늘려서 해결할 수밖에 없다. 보조금은 심고 가꾸는 데도 필요하고 가공하는 데도 사주는 데도 다 필요하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