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일본은 러시아 목재수입을 금지하면서 러시아 낙엽송을 수입하지 못해 러시아 낙엽송으로 갑판에 사용하는 합판공장들이 원료 난을 겪고 있었다. 한국의 거래처가 이런 사정을 듣고 “한국산 낙엽송을 사용해 보면 어떠하겠냐”라고 했다. 일본 4개 합판회사에서 주문이 왔다. 동해항에서 한 배를 실어 보내기로 했지만 한 배 분량의 국산 낙엽송을 구할 수가 없었다. 결국, 이 일은 그렇게 성사되지 못했다.

일본은 자국산 목재로 일본의 국내 합판공장에서 98%를 생산한다. 일본의 30여 개 되는 풀라인 합판공장과 128개의 가공공장이 일본산 침엽수를 이용해 합판을 생산한다. 합판의 자급자족이 완성된 것이다. 국산화를 시작한 지 32년이 지났다. 당시 일본은 남양재 원목 수출금지 영향으로 국내 자원을 사용해야 한다는 절실함이 정부와 업계에 있었다. 일본 정부가 더 앞서 이 정책을 추진했고 자국의 합판 공장들이 하나둘씩 침엽수 라인을 놓았다. 소중경목을 깎을 로타리레스를 혁신시키고 접착제를 개발하고 단판접합기술과 건조기술 그리고 밴딩방지 노하우까지 할 수 있는 모든 일들을 해결하면서 그들의 침엽수 합판제조를 완성시켰다. 그렇게 해서 2천3백만㎥ 국산원목 중 455만㎥를 합판에 투입한다. 전체 원목의 약 20%에 해당한다. 63%는 제재목으로 이용된다. 나머지는 칩으로 사용된다. 일본의 공공건축이나 주택건설에 필요한 제재목과 합판은 대부분 자급자족되고 있다. 실로 놀라운 변화다.

우리나라는 목재이용 측면에서 반성해야 할부분이 많다. 약 15% 정도밖에 안 되는 낮은 제재율과 합판생산은 전무하고 대부분 보드나 펠릿 또는 펄프나 에너지 사용을 위한 칩용이다. 굵은 참나무들이 장작으로 바로 소비되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고 낙엽송이나 소나무로 합판을 제조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제재를 해도 남는 게 없다고 생각한다. 기술과 설비변화가 멈춘 시대의 산업의 일면이 투영도 사고 자체도 멈춰버린 듯하다. 하지만 기후변화로 인한 국가의 책임을 다하기 위해서는 산림과 산림에서 수확한 목재의 이용을 방관할 수 없는 상황이다. 그래서 산림청은 목재제품의 수명을 늘려주고 단계적 이용을 분명히 하는 정책을 펼쳐야 한다. 경제림 확대와 경제림에서의 목재수확을 당장 기대하기 어렵고 한동안은 국산재 자급율 확대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임도와 기계화 등 산림 인프라투자가 약해 급하게 늘리려 해도 그렇게 되기 쉽지 않다.

하지만 우리가 꼭 해야 할 것은 국산재로 건축과 인테리어가 가능하도록 제품생산을 위한 정책역량과 예산 집중이다. 그렇게 하려면 산림청은 국산재의 제재이용을 늘리는 정책, 즉제재설비와 건조설비의 개발과 확대에 나서야 하고, 합판공장을 짓는 데 정보역량과 지원정책에 집중해야 한다. 왜냐면 기후변화국제간 패널(IPCC)에서 목재는 연료이용보다 장수명화와 단계적 이용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기 때문이다. 산림청이 너무 먼 미래만 보고 지금의 산림에서 수확한 목재이용을 간과한다면 목재 관련 기간시설들은 모두 사라지고 말 것이다.

제조는 내리막이고 수입유통이 성장하는 추세를 감안하면 국산재 이용은 더욱더 어려워질게 분명하다. 공장 인력 노후화도 대책이 시급하다. 단 하나의 작은 원목도 장수명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한 게 한국의 산림의 현주소다. 기업의 기술과 의지와 국가정책이 하나 돼 국산목재 이용에 변화를 주어야 한다. 우리나라가 필요한 목재를 공급하려면 연간 약 20만ha의 산림이 필요하다. 어떤 품목을 수입하고 어떤 것을 우리의 것으로 대체해야 가야 할지 정책적 목표가 있어야 한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