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AMERICA

힘받는 ‘글로벌 인플레 정점론’

전문가들은 내년 여름이면 각국의 금리인상도 종료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유럽 천연가스 선물가격이 11/25일 MWh당 125유로로 8월 최고점(311유로) 대비 59.8%나 빠졌고, 미국, 영국, 스페인, 덴마크 등 선진국의 PPI(생산자물가지수) 상승률도 계속 둔화되고 있으며, 하반기 들어 브라질, 태국, 칠레 등 신흥국의 CPI(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꺾였고, 경기선행지표인 해운운임이 대폭 떨어지는 등 주요 경기 선행지표들이 하락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주요 선진국의 인플레이션 목표치(2%)까지의 하락은 상당한 시간이 걸려 금리인하 시점은 상당 시간이 지난 후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내년 금리인하 없다… 피봇에 선긋는 연준

미국의 일부 경제전문 가들은 미국의 물가가 진정국면에 접어들었기 때문에 Fed가 내년에 금리를 인하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Fed의 브레이너드 부의장은 미국 보다 일찍 금리를 인상한 나라들도 인플레이션을 못 막고 있어 금리인하가 쉽지 않다고 언급했고, 윌리엄스 위원은 2024년 되어야 금리인하를 생각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블러드 위원은 기준금리가 최종적으로 5~7%까지 인상 되어야 하기에 금리인하를 논할 수 있는 단계가 아니라고 언급했다.

 

중국 CHINA

방역 푸는 中, 베이징 확진자 자택치료 허용

중국은 코로나19 확진자에 대해 증상의 경중에 상관없이 격리시설에 수용해 왔다. 그러나, 중국 주요도시에서 제로코로나 반대 시위가 격해지고,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증상도 약해졌을 뿐아니라, 많은 사람이 예방접종을 했기 때문에 방역정책을 일부 완화해 확진자가 집에서 격리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또한, 중국은 감염자가 나오더라도 봉쇄구역을 최소화하고, 일정 조건에 맞으면 봉쇄를 즉각 풀기로 했다. 전문가들은 봉쇄정책을 완화한다 하더라도 중국의 위드코로나 정책은 내년 하반기나 되어서야 시행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일본 JAPAN

‘인플레 수당’ 주는 日기업

일본은 디플레이션을 장기간 겪어왔다. 그러나, 올해 에너지 및 원자재 가격이 오르고, 엔화가 약세로 전환하면서 10월 CPI(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3.6%로 40년8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인플레이션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일본기업들은 물가상승으로 실질임금의 감소를 막고 종업원의 사기를 높여 주기 위해서 연간급여의 10% 정도인 인플레이션 특별수당을 지급하고 있다. 1,200여 곳의 일본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인플레이션 수당을 지급한 회사는 6.6%이지만, 수당을 지급할 의사가 있는 기업들은 19.8% 가량 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 EUROPE

마크롱 美서 작심발언 “인플레법 너무 공격적”

미국을 방문한 프랑스 마크롱 대통령은 미국의 IRA(인플레이션감축법)가 미국 기업에게만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어 미국에게는 좋을지 모르지만, 프랑스 기업에게는 많은 일자리를 없앨 수 있어 프랑스에게는 극토록 해롭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러나, 미국 민주당 의원들은 외국 자동차 회사들이 미국에 와서 공장을 짓기를 바란다며 법을 바꾸지 않겠다고 밝혔다.

 

한국 KOREA

기업빚도 위험하다 부채비율 세계 4위

국내 비금융기업의 GDP 대비 부채비율은 3분기 기준 119.1%로, 조사 대상 35개국 가운데 네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사태, 글로벌 경기둔화 예상에 따라 기업들이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자금을 미리 조달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경기침체에 따른 매출감소, 물가 및 환율 상승에 따른 원가상승, 고금리에 따른 이자비용 증가 등으로 한계기업이 늘어나고 있어, 기업부실이 금융위기로 전이될까 우려된다.

 

반도체 이어 배터리셀 대란?

내년부터 완성차기업들이 전기차 생산을 급격히 늘릴 것으로 예상되지만, 배터리 공급부족으로 계획대로 생산되기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배터리 회사의 수율(생산품 중 양품 비중)이 예상대로 올라오지 않고 있고, 미국의 IRA(북미 제조비율이 일정수준 이상 되어야 보조금 지급)에 따라 중국에서의 원재료 조달 제한 등 배터리 주요부품의 조달이 쉽지 않으며, 고금리에 따라 배터리에 대한 투자가 취소되거나 위축되고 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도 허리띠 졸라맨다

삼성전자가 전사업부에 일반경비를 최대 50% 감축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이전에는 당장 필요한 투자가 아닌 경우에는 재검토하라고 했지만, 이번에는 출장경비나 마케팅비용 축소 등전부문에 걸쳐 비용을 절감하라는 지시였다. 수요가 가파르게 줄고, 재고가 역대 최고로 늘어난 상황에서 내년도 사업전망이 어둡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1%대 저성장, 3%대 고물가 불가피

IMF, OECD, 한국은행, KDI 등 국내외 주요기관들의 우리나라의 내년도 물가상승률과 GDP성장률을 분석한 결과, 이들 기관들의 물가상승률과 GDP성장률 전망치 중간 값은 각각 3.5%, 1.9%로, 스태그플레이션(물가상승 속 경기침체) 상태를 보여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소비진작책이 물가를 자극할 수 있어, 소비진작 보다는 수출을 늘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부의 세일즈 외교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기준금리 올라도, 꿈쩍 않는 예금금리

한국은행의 기준금리가 올랐지만, 주요 은행들은 예적금 금리를 5% 이상 올리지 않고 있다. 최근 은행채 1년물 금리가 최근 5.104%에서 4.869%로 떨어졌으며, 예적금 금리가 오르면 대출금리도 오르고, 제2금융권도 자금난에 봉착할 수 있기 때문에 금융당국이 금리인상을 자제하라고 권고했기 때문이다.

 

42세에 노동소득 정점, 61세부터는 ‘적자인생’

우리나라의 2020년 기준 노동소득은 984.3조원, 총소비는 1,081.8조원으로 소비가 노동소득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소득에서 소비를 뺀 흑자 여부를 국민 1인당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16세 때 최대 규모의 적자(-3,370만원)가 발생했다가, 27세 때부터 노동소득이 소비보다 많아져 흑자가 시작되고, 43세 때부터 최대 규모의 흑자(1,726만원)를 시현했다가, 61세 부터 소비가 노동소득보다 많아져 다시 적자로 바뀌어, 흑자기간은 34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년부터 소비기한… 빵 11일·두부 6일 길어진다

내년 1/1일부터 우유류를 제외한 모든 식품에 대해 판매가 허용되는 ‘유통기한’ 대신 섭취해도 안전한 ‘소비기한’ 이 표시된다. 유통기한이 소비기한으로 변경되면서 두부류는 17일에서 23일로, 햄류는 38일에서 57일로, 빵류는 20일에서 31일로, 과자류는 45일에서 81일로 길어진다. 소비기한은 식약처가 제시하는 기간으로 업체들은 이 기간보다 짧게 소비기한을 정하면 된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