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은 2조7천억 원의 예산을 쓰는 정부 조직이다. 임업을 위한 조직이다. 임업은 주로 용재를 생산해 소득을 올린다. 산림에서 생산된 용재는 목재산업에서 국민이 필요한 다양한 제품으로 가공·생산돼 소비된다. 산림청의 기본 미션은 임업과 목재산업에 있다.

하지만 현실은 임가의 소득이 요원하고 양질의 국산목재 공급과 이용이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 대부분의 목재가공업에 종사하는 분들은 국산재는 공급 안정성이 없고 가공해도 이익이 적다고 기피한다.

우리 산림은 조림한 지 50년이 지났고 산림에는 약 10억㎥의 임목축적량이 있지만 목재산업의 용재 공급 측면은 낙제점이다. 아쉽게도 지난 50년 동안 치산녹화를 너무 강조한 나머지 경제림 조성이라는 부분을 간과했다.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황폐산림의 녹화에는 성공했으나 용재를 공급해야 하는 경제림 조성은 시기를 놓쳤다. 우리나라는 한 해 7조5천억 원의 원목을 비롯한 목재와 목재제품을 수입해 들여온다. 경제림이 빈약하고 이제 겨우 헥타르당 157㎥ 밖에 안 되는 수준이다. 지금의 경제림의 임목축적은 우리나라 평균 임목축적 헥타르당 165㎥ 보다 낮다. 일본의 경제림이 헥타르당 313㎥에 달한 것을 감안하면 앞으로도 우리나라는 꽤 오랜 시간 목재와 목제제품을 수입해 와야 한다.

산림청이 경제림 조성을 강조하고 늘려가야 하는 것은 당연하고 의무이기도 하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제림 면적이 늘어나고 임목축적이 헥타르당 200㎥ 이상 되려면 최소 15~20년을 기다려야 한다. 더 이상 자라지 않는 불량림을 경제림을 빠르게 전환해야 함은 물론이다.

당연하게 수입되어 온 목재가 무기화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며, 목재는 기후변화시대, 탄소중립에 필요한 중요한 자원이 됐기 때문이다. 미국 바이든 대통령은 자국의 건축프로젝트에는 다른 나라의 목재를 사용하지 않을 것을 언급했는데 이 때문에 캐나다 목재 수출협회와 기업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기도 했다. 자국의 목재로 건축을 하고 에너지를 생산 하는 중요성은 점점 커질 것이다. 하루라도 빨리 경제림 조성에 모든 정책수단을 강구해야 하는 책임은 산림청에 있다.

제재용으로 쓸 만한 용재가 아니더라도 한해 450만㎥씩 생산되는 지금의 목재의 이용이 최선인가 하면 그렇지 못하다. 국산재는 부가가 치가 높은 건축과 인테리어 소재 생산에 투입 돼야 하고 우리 임목의 형질에 맞는 가공기술 개발로 다양한 이용이 가능해져야 한다. 산림청은 에너지, 보드, 펄프에 집중돼 있는 국산목재 이용을 건축, 인테리어, 가구 분야로 확대해야 한다. 건축을 위해서는 합판, OSB, LVL 등의 공학목재제품을 생산해야 하고 인테리어를 위해서는 제재를 넘어서 방염, 난연, 불연, 방부 등 다양한 가공기술을 접목한 자재가 생산돼야 한다. 가구를 위해서 미이용 활엽수를 제재해 판재로 생산한 다음 건조해 전국의 목공방에 공급하는 체계를 구축해줘야 한다.

산림청이 국산목재의 이용은 필수 기술개발과 설비투자에 의해 목재산업이 수입목재 의존도를 낮춰야 한다, 산림청은 목재이용 기술과 장치 개발, 건조장치 보급, 공학목재 공장 확보, 인력양성 등을 위해 매년 2,000억 이상의 예산을 투입해야 한다. 이러한 정책지원은 국내 목재 가공회사들의 존립과 국산목재 수요창출을 통해 결국 임가의 소득에 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임업과 목재산업에 대한 진정성 있는 정책이 있다는 증거는 산림청 예산변화에 있다. 예산 투입 없는 정책 기대는 말잔치일 뿐이다. 예산의 변화를 요구한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