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로 전세계가 몸살을 앓고 있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가뭄과 기온상승으로 산불의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산불의 피해 면적은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다. 산불은 지구의 이산화탄소 증가의 20%를 차지할 만큼 위협적이다.

미국 캘리포니아, 호주, 프랑스, 그리스, 터키, 러시아, 포르투갈 등 세계 도처에서 발생한 산불의 규모와 피해는 상상을 초월한다. 지구온난화를 가속시키는 위험요인이다. 포르투갈은 2016년 산불로 산림의 23%, 제주도의 4배가 탔다. 이는 국토의 우리나라도 예외가 될 수 없는 상황으로 매년 산불의 발생 횟수도 증가하고 산불발생 기간도 길어지고 있다. 산불은 가뭄, 기온 상승, 강한 바람에 의해 강력한 재앙이 되어 엄청난 산림소실, 인명피해와 건물파손 등 국가적 손실을 가져다준다.

산불은 예방이 최선이나 최근 발생빈도를 감안하면 조기진화의 여부가 매우 중요하다. 산불의 조기진화는 임도밀도가 매우 중요한 변수가 된다. 산불이 발생하면 소방헬기로 진화 하지만 강한 바람이 불거나 밤이 되면 속수무책이다. 산불은 잔불 정리까지 해야 진화가 완료되는데 임도가 빈약한 우리나라는 그야말로 산불진화대원들이 악전고투를 해야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목숨을 걸어야 하는 상황에 부딪히기도 한다.

임도가 산불의 진행 자체를 막아줄 수 없지만 산불의 진화에는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목재생산 비용을 낮춰 임가의 소득을 높여 주는 데도 큰 역할을 한다. 하지만 임도의 건설에는 막대한 예산이 들어가기 때문에 단시간에 임도밀도를 높이는 정책은 무리다. 매년 임도밀도를 높이는 예산을 확보해서 점진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하고 이를 게을리 해서도 안 된다. 산불로 인한 피해목을 자원화해 나가는 정책도 필요하다. 매년 22백만㎥에 가까운 목재와 목재제품을 수입하는 현실 속에서 산불피해목의 자원화는 매우 중요하다. 산림 선진국에 비해 경제림 면적도 적고 경제림의 임목축적(157㎥/ha)이 평균임목축적(165㎥/ha)에도 미치지 못한 현실을 감안하면 우리는 우리 산에서 생산되는 목재자원을 최대한 제품으로 생산·이용하는 정책에 집중해야 한다. 소·중경목도 최대한 제품생산을 할 수 있도록 설비를 갖추고 다양한 제품생산이 가능하도록 해야 하고 국가가 이런 제품의 판로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산불로 인한 생태계의 피해는 물론이고 아까운 목재자원을 잃게 되기 때문에 발생을 최대한 적게 하는 국민홍보와 대처가 필요함은 당연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불 발생과 산불 피해가 매년 증가하는 지구 상황을 감안하면 보다 적극적이고 광범위한 대처가 필요하다.

정부는 산불과 관련된 예산을 획기적으로 늘려 대처해야 한다. 산불로 인한 손실은 아무리 강조해도 가늠이 안 될 정도로 광범위하고 막대하기 때문에 선제적인 정책이 필요하다. 수확해서 사용하지도 못하고 소실되는 산림과 산불로 인한 이산화탄소 증가와 이로 인한 기온상승의 부작용은 막아야 한다.

소방도로가 막혀서 도심의 화재를 진압하지 못하는 상황을 종종 보게 된다. 산불도 산불을 진압하는 데 필요한 임도가 확보돼야 한다. 산림선진국의 임도밀도에 비해 턱없이 낮은 우리나라의 임도밀도에 대해 심각한 고민이 필요하다. 빽빽하고 울창한 산림만을 강조할게 아니라 언제 잿더미로 변할지 모를 비상 상황에 대한 대비가 국가적 차원에서 필요하다. 대비하지 않으면 지구온난화의 역습에 속수무책으로 바라만 봐야 할지도 모른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