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국산목재 이용량은 491만㎥로 약간 증가했다. 총 목재 소비량의 17.1%에 해당한다. 우리나라 국산목재는 경제림 조성이 늦어 우량 목재가 적기 때문에 제재 이용율이 낮을 수밖에 없다. 이런 이유로 대부분의 국산목재는 펄프, 보드, 발전연료로 사용된다. 80% 가까이 칩으로 가공돼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상황을 방치해선 산주도 가공산업도 희망이 없다.

아직까지 국산재는 톤당 판매되는 낮은 수익의 시장이 지배적이다. 대부분이 톤당 6~8만원 판매되니 모두 합해도 5천억 원이 넘지 않을 것이다. 경급이나 등급의 소팅이 필요 없는 수확은 산주에겐 절망자체다. 벌채하고 나면 헥타르당 150만원도 손에 못 쥐는 일들이 비일비재하다. 이래서야 임업이 희망이 있겠는가 싶다.

국산원목의 수요가 있어야 중소경재를 이용하게 되는 데 ‘달걀이 먼저냐 닭이 먼저냐’하는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최근 정부의 지원으로 국산원목을 부가가치화하는 클러스터 생산공장이 들어서거나 계획 중에 있다. 국산원목의 수요를 늘려주는 지원정책은 필수적이다. 국산 소중경재를 고도로 이용하는 기술개발도 시급하고 생산된 제품이 팔리는 시장에 대한 인센티브 정책도 필요하다.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식의 논쟁은 산주의 소득을 올리는데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장기간 산을 돌보았거나 혹은 방치했더라도 산에서 생산된 목재는 소중대경 할 것 없이 소중한 자원이다. 기후변화시대 탄소중립이 강조되고 실천돼야 하는 시점에서는 더욱 그렇다. 수많은 목재가공기술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거대한 양이 발전소로 직행하거나 펄프나 MDF 공장으로 직행하는 것만이 최선은 아님은 모두가 안다. 다른 품목으로 가공할 수 없을 정도로 나쁘거나 가공잔존물은 칩으로 가공해 기존의 산업에 투입돼야 하지만 그렇지 않는 원료도 발전소나 펄프재나 MDF로 가는 것은 탄소중립 위반이요 자원낭비다. 국산목재는 소경목이더라도 최대한 장수명 제품으로 생산해 이용할 수 있는 만큼 이용을 해야 한다. 기후변화로 산림소실 면적이 많아지고 목재자원의 공급이 어려워진다고 보아야 한다. 목재자원의 무기화가 현실이 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소경목도 제재를 해서 상품화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 기계장치 개발을 해나가야 한다.

산림청은 기후변화를 대비하는 국가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서도 경제림을 전면적으로 확장 육성해야한다. 경제림 조성과정 중 수확되는 자원을 선별해서 공급하는 정책이 필요하며, 야적장과 국산원목시장이 필요하다. 특히, 소중경목을 다양한 소재로 제품화해 제품의 수명을 늘려주어 탄소저장기간을 늘려주는 정책이 중요하다고 본다. 합판, 제재목, 집성재, 공학목재, 기능성 내외장재 등 부가가치 높은 제품화와 판로개척을 위해 산림청은 총력을 다해야 한다. 톤당 시장이 아닌 입방미터당 거래 되는 시장으로 국산재의 거래를 바꿔가야 한다. 기본적인 제재, 건조설비 투자도 중요하고 품목개발과 생산을 통해 공공건축시장부터라도 수요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산림청은 국산재의 이용과 부가가치화를 위해 다양한 목소리를 듣고 예산을 마련하고 행정인원을 충원해 적극 행정에 나서야 한다. 예전에 비해 클러스터화 사업 규모와 예산도 늘어 새로운 기회가 생겨나지만 무엇을 해야 할 지 전문적 의견을 공개적이고 종합적으로 취합할 필요성이 있다.

원료수급상황, 원료형상, 가공방식, 제품화, 판로 등 다양한 변수들을 체크하되 최종적으로는 경제성을 최대한 뒷받침돼서 국가의 지원이 최적화되고 광범위화 할 수 있도록 장기적 플랜도 필요할 것이다. 목재산업에 종사하는 분들도 국산목재의 자원화와 제품화에 관심이 필요한 때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