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재자급율이 15% 전후에서 높아지지 않고 있다. 목재자급율을 높이는 것은 기후변화를 대비해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지표가 되기 때문에 중요한 부분이다.

2,380만㎥에 달하는 목재와 목재제품이 매년 수입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임목축적은 약 156㎥/ha로 수입한 목재량을 단순 계산하면 우리나라산 144천ha에 달하는 면적에서 생산된 양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원목수입은 한해 300만㎥ 정도이니 2천만㎥는 제품으로 수입된다. 이를 감안하면 약 20만ha에 달하는 면적에서 생산된 목재를 원목, 제재목, 펄프, 합판, PB, MDF, 목탄, 플로링 등으로 제품화돼 수입돼 들어온다. 수입할 때 내륙운송을 거쳐 해상 운송과정에서 막대한 연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수입목재는 국제적으로 이산화탄소 감축인정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산림에서 탄소중립 목표를 강화하려면 ‘베고-심고-가꾸고’를 순환하는 경영이 필수적이다. 산림자원이 많아도 이를 가공할 산업이 미약하면 정상적으로 순환되지 않는다. 우리나라는 이미 영급구조가 심각한 불균형 상태여서 지속적인 자원공급에 비상등이 켜졌다. 벌채에 대해 지나치게 부정적인 환경단체의 비위를 맞추다가는 산주는 희망 없이 살아가야 하고 국내 목재산업은 수입목재에 대한 의존도를 떨칠 수 없다.

국산 목재가 펄프, 섬유판의 원재료로 대량으로 사용되고 여기에 발전 산업이 국산목재를 땔감으로 사용하면서 톤으로 거래되는 값싼 목재자원을 가지고 팽팽한 싸움을 하고 있다. 코로나 시대 때 목재가격이 두세 배 폭등했지만 국내목재의 가격상승폭이 미미했었다.

국산목재는 가격 탄력성을 잃어버렸다. 이는 국산목재를 부가가치화 하는 데 실패하고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산림청이 과감한 투자를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국산목재를 이용하려면 기본적으로 혁신적인 제재를 통해 값싼 제재목을 시장에 공급해줘야 한다. 이 제재목을 이용해 벽판재, 후로링, 집성재, 구조용집성판 등의 제품을 생산할 수가 있다. 또한 대규모 건조설비를 놓아서 국산 제재목 품질을 높여주면 다양한 가공시설을 갖춘 기업들이 이 제재목을 구매해서 다양한 제품을 만들 수 있게 된다. 국산목재에 대해 공급이 막혀있고 가격이 현실적이지 못하다는 말들이 많다. 산림청이 제재와 건조에 기본적 투자를 해야 그 다음 단계로 갈 수가 있다. 소중경목을 이용하는 다양한 가공에 대해 접근이 필요하다. 소중경목 전용 제재나 합판 생산이 그 가능성을 열어줄 것이다.

국산목재는 낙엽송을 제외하고 대체적으로 직경이 작고 굽음이 있다. 소나무류는 옹이도 많은 편이다. 가공설비들의 발전으로는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우리가 혁신적이지 않은 과거의 설비로 국산재를 이용하려 한다면 그 대답은 매우 부정적이게 된다. 하지만 소중경목에 최적화된 설비를 이용하면 결과는 달라진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국가의 선재정지원이다. 특히 제재와 건조설비는 국산목재로도 경제성을 갖출 수 있을 정도여야 한다. 산림청은 국산목재 클러스터 사업을 하면서 3년에 50억 원 중 25억 원을 부담한다. 이 50억 원의 지원금은 건물을 짓고 기계 몇 대 놓을 수 있는 정도라 혁신을 기대할 수 없다. 과감한 투자가 필요하다.

전국적으로 목재친화도시 조성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여기에도 국산목재를 사용해야 하는데 천편일률적 반복이 될까 우려스럽다. 유치원 교실 환경개선 사업도 국산목재제품의 한계로 고민이 많다고 한다. 경쟁력 있는 제재목 공급이 안 되고 있기 때문이다. 국산목재의 제재이용 비율은 14%에 지나지 않는다. 이 현실을 뛰어넘어야 답이 보인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