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_View김 진 희 
(사)한국목조건축기술협회장/ 캐나다 건축가

지난 10여 년 동안 점차적으로 건축의 질적 향상과 환경에 적응하는 건강한 건축을 요구하기 시작한 우리의 건축시장에 목조건축이 서서히 보급되면서 사회적으로 매우 호평을 받는 좋은 건축물로써 그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이는 우리 건축의 본질과 이 시대의 정서, 그리고 현대 사회의 국제적 교류에 한 역할을 하고 있는 지속적이며 재생 가능한 자연재료를 활용하고자 하는 목조건축이 점차 확산되고 있는 현실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새로운 목구조공법의 이해와 목조공동주택 건설의 가능성은 앞으로 더욱 다양하게 목조건축이 디자인적 활용으로 적용될 수 있는 건축적 배경과 목재가 갖고 있는 건축재료로서의 매력이 건축 설계자 뿐 아니라 일반 수요자들도 높은 관심을 갖게 될 것으로 확신한다.

지금까지 3회에 걸쳐 녹색자금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사단법인 목재문화포럼이 주최하고 산림청이 후원하여 시행해 온 한국목조건축대전에 출품한 좋은 작품들을 접하면서 지난 9년여 간 목조건축에 관한 전문교육을 수행해 온 본인으로서는 우리에게 주어진 목조건축의 많은 과제를 이제 함께 해결하고 발전해 나갈 수 있는 힘을 갖게 되었다고 생각하니 새삼 감회가 깊지 않을 수 없다.

한국에서 한국목조건축대전이 지속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것은 미래에 국산목재의 생산과 활용에 대비하여 젊은 건축가들에게 목구조로 구현되어지는 디자인의 매력을 보여 주면서 목조건축 발전의 가능성을 동시에 기대한다는 의미에서 매우 고무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목조건축의 설계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우선적으로 나무의 재료적, 역학적 특성에 의한 구조적 접합과 디자인적 해법은 어느 다른 건축재료보다 섬세하고 면밀한 디테일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정보 및 자료의 부재와 기술적 이해의 미숙으로 설계과정에서 다양한 기술적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지는 못하고 있으며, 또한 숙련된 경험이 풍부한 시공자들의 부족함을 절감하면서도 목조건축의 정착을 위하여 끝까지 노력하고 있는 설계자 및 시공자들의 심정을 이해할 수 있었다.

그러나 많은 작품들이 목재의 생동성과 활동성을 유기적으로 활용하면서 구조와 공간 속에 연계함으로써 환경의 변화와 디자인 적용의 범위를 넓혀 나가기 위해 노력한 점들은 큰 감동으로 받아 들여졌다.

전체적으로 지난 출품작들을 통하여 볼 때 우리의 목조건축 분야는 목재를 그 자체의 재료적 본성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구조와 함께 마감을 동시에 공유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특성의 활용이 아직 미흡하고, 단순한 구조의 공학적 역할의 한계에서 건축의 전반적인 계획성이나 복합성이 결여된 부분에 아쉬움을 갖게 된 것도 사실이다.

이와 함께 앞으로도 계속적인 목조건축의 새로운 작품들을 통하여 사회 전반에 걸쳐 목재의 인성적, 환경적 적응의 인식이 더욱 높아지기를 기대하면서 한국목조건축대전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하여 체계적인 기술 보급의 필요성을 더욱 절실히 실감하고 있다.

앞으로도 계속 시행될 한국목조건축대전에서는 우리 마을의 정감과 환경요소를 배경으로 하는 우리 집(한국형 목조주택)의 디자인 연구가 공모의 일부분으로 고려되었으면 한다. 우리의 집도 한국문화의 한 부분으로서 세계 여러 나라에 소개하고 보급할 수 있는 한류의 한 요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집의 유형이나 재료의 선택도 시대의 사회적, 문화적 소산물로서 그 시대의 변화와 함께 스스로 순응하며 적응되는 결과물로 존재해 오고 있다. 역사의 정체성은 보존하면서 그 전통성을 현대와 통합할 수 있는 전통도 항상 시대의 배경과 함께 재구성되고 있다.

특히 오늘날 정보화 사회에서 전통건축의 환경적 적응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다고 생각한다. 집은 그 자체가 갖는 조형적, 미학적 요소에 앞서 내부 공간의 유기적 역할을 외부 환경에 적용시키고 통합시키는 원리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집은 살아 있어야 하며 숨을 쉬어야 한다는 일반적 표현은 집의 재료의 생동성과 활동성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다. 건강한 집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 중에서 공간의 연계성은 생활의 변화와 활동의 영역을 넓혀 주므로 대지 속에서 주위 환경과 함께 할 수 있는 공간의 확장을 가져다준다.

우리의 집에 대한 전통성(Traditional) 보존의 주장 속에서 그 정체성(Identity)은 어떻게 표현되어야 할 것이며 그것이 현대사회의 사회적 적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