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가 초기 가구관련 분야에서 일하던 때였다. 유럽의 가구회사에서 받은 CD로 제작된 카탈로그를 하나씩 살펴보던 순간 각각의 상품에는 디자이너의 이름이 표기돼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이 디자이너의 이름이 상품적 가치를 띠고 브랜드화돼 필립스탁, 카림 라시드 등과 같은 세계적인 거장을 육성해내고 있음을 알게 됐다. 왜, 우리나라는 대중들도 아는 가구 디자이너가 없을까.

왜, 우리에게는 이름이 브랜드화된 가구 디자이너의 자리가 공석으로 남아있는 것일까. 가구회사는 있되, 가구 디자이너는 없는 현실의 중심부에는 디자이너의 이름 없이 판매되는 가구에서 출발하고 있었다.


디자이너 이름 꼭 표기해야 하나?

평준화된 기술력 답은 고객 마음 읽는 디자인

기업 또는 조직의 브랜드화에서 조심스레 ‘개인의 브랜드화 시대’로 옮겨지는 사회현상은 무한경쟁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한 한명의 개인만을 위한 충고가 아니다.

이제 물건을 팔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마음을 움직여야하는 시장 환경변화는 덩치 큰 회사라는 조직체가 개인을 상대하는 것보다 범위를 더 좁혀, 1대 소수의 소비자라는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이 더 현명해 보인다.

물건을 사는데 있어 어느 회사 제품이냐(Made in~)가 중요한 시기라면 굳이 디자이너 실명제(Designed by~)는 거론할 의미조차 없어진다. 기능성이 아닌 기호성의 소비시대에서 소비자는 기업 브랜드보다 자신의 취향이 반영된 제품을 선택한다.

이는 각 회사의 제품마다 일정수준 오른 평준화된 기술력이 뒷받침돼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보편적인 디자인 트렌드 또는 일률적인 한 회사의 디자인 특성으로만 뭉텅이는 사이, 물건이 개인에게 맞춰져야하는 시대에 사는 소비자는 좀 더 선택의 폭이 넓은 다른 곳으로 눈을 돌린다.

Image_View

디자이너 고유성 가구에서 묻어나야

국내 가구회사의 브랜드는 잘 알려져 있다. 그나마 몇몇 가구회사에서 디자이너의 동기부여, 책임감 고취 등의 차원에서 상품 카탈로그나 전시회 등을 통해 디자이너의 이름을 기명하고 있다. A사의 경우 벌써 7~8년째 시행해오고 있는 부분이라고. 도심이나 외각의 가구단지에서도 자신의 이름을 건 가구 매장들이 심심치 않게 눈에 띈다.

그러나 해외 가구 디자이너나 국내 의상 디자이너 등과 같이 대중의 기억 속에 남은 디자이너가 없는 것을 보면, 디자이너 자신의 개인 브랜드화에는 실패한 것 같다. 이에 대한 원인은 여러 각도에서 분석할 수 있다.

훌륭한 디자인의 가구 또는 그것을 제작하는 가구 디자이너라는 자체에 생경한 낮은 문화적 수준이 첫 번째 원인이며, 우리에게 현대식 가구는 소장해 대물림되는 품목이 아니라는 사회적 분위기에서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현실을 극복하기에는 역부족이었던 디자이너의 역량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디자이너 실명제’는 단순히 상품 안내책자나 간판에 디자이너의 이름만을 명기하는 소극적인 정책이 아니다. 기명된 가구는 디자이너 고유의 창의성과 소속된 그 회사의 디자인 아이덴티티가 결합된 산물임을 밝힌다. 가구제작회사에 소속돼 있거나 프리랜서로 활약하더라도 그 디자이너만의 고유성이 상품에서 읽혀져 디자이너의 이미지와 일직선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우리의 기억 속에  왜 가구 디자이너가 없는가!

조직화된 시스템 개인 평가기준 불분명

세계적으로 우리나라와 같이 디자인팀을 조직적으로 구성하고 가구를 만드는 프로세스는 이례적이라고 한다. 디자인실이라는 부서에 소속돼 서로간의 협업으로 가구가 제작되는 시스템은 디자이너 실명제 도입이 부딪히는 첫 번째 걸림돌이다.

디자이너 실명제는 개개인의 실력에 더 비중을 두는 제도로, 지금과 같이 조직화된 시스템과는 정반대의 성격을 갖기 때문이다. 디자이너 실명제를 실시할 경우 이 제도는 디자이너 능력평가의 바로미터가 되는데, 공동체적인 작업방식에서 개개인에 대한 평가기준은 매우 불분명해진다.

몇 가지 예를 들어본다. 상품개발 과정에서 동료 및 선후배 디자이너 또는 타 부서간의 자유로운 의견교환이 이뤄지며 이러한 아이디어는 상품에 적용될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전담 디자이너가 있더라도 온전히 한 디자이너의 작업이라고 보기는 어려워진다.

또 출시된 상품에 있어서도 그 회사의 디자인 정체성을 잘 살려 이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