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VC 바닥재의 바통을 넘겨받은 목재 바닥재 시장이 성장기에 진입하는 무렵, 관심은 벽체로 옮겨간다. 벽지를 비롯해 패브릭, 가죽, 대리석 등이 아트 월이라는 개념으로 벽을 장식했다. 벽지를 제외한 기타 소재가 유행에 따라 부침이 있던 것에 비해 벽지는 우리나라에서 벽을 장식하는 가장 전통적이고 보편적인 벽재(壁材)의 대표주자로 행군하고 있다.

그동안 우리가 잊고 지냈던 벽 마감재가 있다. 바로 나무다. 흔히 루버(louver)로 불리는 얇고 긴 형태의 월 패널이 근래의 친환경화와 고급화 물결을 신명나게 타고 있다. 가장 대중적인 벽지와 떠오르는 월 패널, 지금까지 제로섬(zero-sum) 법칙에 있었던 두 소재의 관계를 소상히 밝힌다.  


<대중화된 종이 ‘벽지’ >


가장 친숙하고, 대량생산 가능시공성도 우수

Image_View“나무, 페인트, 패브릭, 대리석, 가죽 등 타 소재들과 달리 벽지가 보편화될 수 있었던 것은 가장 오랫동안 사용돼 우리에게 친숙한 이유에서지 않을까요.

” 벽 마감재라 하면 으레 벽지가 연상되는 ‘벽지의 대중화’에 대한 DSG대동월페이퍼 영업기획마케팅 양인식 부장의 말이다.

같은 회사의 디자인실 박선지 실장이 발표한 ‘한국벽지 디자인 변천에 관한 연구’에 의하면 우리가 벽지를 사용하기 시작한 정확한 시점은 조선시대 초기부터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시대별 변천사에 따른 벽지 발전과정 챕터를 통해 대중화의 원인을 명쾌하게 규명하고 있다.

박 실장은 “오늘날처럼 벽지가 대중화될 수 있었던 데는 ‘주택이 대형화되고 아파트 건물이 양적으로 증가’하는 것에 따른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벽 마감재로써 벽지가 가장 적합한 소재로 주목받았다”며 이에 대한 이유에 대해서는 “규격화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비교적 시공이 용이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Image_View

1963년경 낱장 벽지에서 롤(roll) 벽지가 처음 생산되고 합지벽지라고 불리는 엠보스 벽지, 실크벽지로 통칭되는 염화비닐 벽지 등의 신소재가 개발되면서 벽지시장은 도약기를 맞는다.

특히 비닐계의 발포벽지는 그때까지 볼 수 없었던 방음효과와 입체적인 볼륨감을 특징으로, 대량 공급되는 아파트의 거친 실내 벽면을 커버하기에 충분했다. “벽체 은폐력은 벽지발전의 기틀을 마련한 중추적인 요소”였다는 의견은 벽지와 목재관련 업체 관계자들로부터 들려오는 공통적인 근거 제시다.

Image_View

1984년 벽지업계는 거실, 침실, 아이방 등 용도별로 디자인하기 시작했다. 아시안·올림픽 게임과 해외여행 자유화 등 세계화 물결 이후에는 안정기에 접어들어, 지금의 벽지시장은 디자인 발전에 있어서 어느 때보다 치열한 경쟁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최첨단 트렌드 도입, 디자인 아이콘으로 부상

2006년 현재, 벽지시장의 상품 차별화는 ‘디자인력’으로 점철된다. 국내 벽지업계는 첨단 트렌드를 빠르게 도입함으로써, 해외와 디자인 트렌드 속도를 나란히 하고 있다. 수입벽지를 취급하고 있는 모 디자인 실장은 “올해부터는 시즌마다 발표되는 패션 트렌드를 곧바로 벽지에 응용시키고 있다”고 말한다.

벽지업계는 정기적으로 1년에 두 번 신제품을 출시하는데, 이번 하반기 신제품의 디자인 트렌드는 ‘클래식·미니멀·내추럴의 다변적 접근’이다. 클래식 스타일은 장식과 절제의 양면성을 갖는다.

완벽한 아름다움을 완성시키기 위한 오뜨 꾸뛰르 정신이 되살아나고, 균형 있는 절제의 미를 완성시키기 위해 순수한 형태와 라인의 단순함을 통한 모던 클래식이 제안되다. did 측은 “화려하고 우아한 스타일이 현대적으로 재해석돼 절제된 화려함을 보인다”고 이 테마를 설명한다.

두 번째는 감성이 터치되는 미니멀이다. 미니멀의 강한 라인과 형태는 미래적이면서도 차갑지 않은 인간적인 감성으로 표현돼 보다 유연해진다. 마지막 내추럴 스타일은 인공이 가미돼 더 세련된 내추럴리즘이다.

상상에 의한 인공적 컬러, 디테일이 가미된 표면처리가 나무, 잎사귀, 돌 등의 사실적 형태와 결합돼 더욱 세련되고 신비스러운 느낌으로 표현된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