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우드 컨설팅사업부 김상혁 고문
목재업계가 스스로 해결해야 할 과제들 몇 가지가 있다. 관(官)이 개입하기 전에 말이다.
제재목의 부비끼관행(치수줄여팔기), 참 오랫동안 고쳐지지 않고 있는 관행이다. 지금 세상이 어느 때인가. 쇠고기 한근, 돼지고기 일인분을 속여 판다고 TV에서 떠드는 세상이다. 왜 목재만이 치수를 줄여서 팔고, 왜 소비자들이 속고 사야 되는가. 제재목의 원산지 표기, 규격표기, 등급표기도 아직 되지 않고 있다. 미국산, 캐나다산의 제재목을 보면 규격, 등급, 생산자 등이 명확하게 표기되어 있다. 우리는 왜 하지 못하고 있을까. 고기, 생선, 과일 심지어 채소까지 원산지 표기를 하고 있는 세상이다.
MDF의 비중. 규정대로 지켜서 만들어지고 있을까? 호주, 뉴질랜드, 미국 독일산 등 선진국들의 MDF비중은 규정대로 만들어지고 있는데 우리것은 비중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고 볼멘 목소리를 하는 소비자들이 많다. 관(官)에서도 여기에 대해서는 무관심이다. 통제하고자 하는 의도도 없다.
방부목이 규정대로 만들어지지 않고 저등급으로 만들어서 높은 등급으로 판매하여 부당이익을 보고 있다고 목재관련 언론에서 이 문제를 다룬지 오래 되었다. 「불량방부목」이란 용어까지 생겨났다.
정상방부목은 방부약제를 규정대로 넣고 규정압력으로 가압 처리하여 약제가 목재 깊숙이 침투되도록 한 것인데, 불량방부목은 제대로 가압처리하지 않고 단시간 내에 꺼내서 정상방부목으로 판매되는 것을 일컫는 용어이다.
불량 방부목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자 방부업체협회(보존처리목재협회)에서 자성(自省)하기 시작했고, 스스로 해결책을 내 놓기도 했으나 그 해결책이란 업체 사장들의 양심에 호소하는 수준이었을 뿐이었다. 여기에는 합성목재(WPC)가 효자 노릇을 한 측면도 있다.
목재관련지들이 말하는 해결책이란 관(官, 산림청)의 강력한 단속만이 이의 해결책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산림청도 이러한 비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기 시작했고 드디어 산림청과 산림과학원이 팔을 걷어 부치고 나섰다.
작년 8월 산림청 목재생산과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예산 5억 원을 2011년도에 책정하였고 그 구체적 방안도 제시했다.
금년 4월부터 6개월간의 계도기간을 갖고 10월1일부터 본격적인 단속에 들어가기로 한 것이다. 이제 그 10월이 닥쳐왔다.
단속원들의 전문성논란, 실효성논란 등 많은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지만 이러한 제도가 시작된다는 것 자체를 환영하며 점차 보완돼서 좋은 결실이 있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