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 김태인 대표 긴급 인터뷰

이름만 같은 모조 방부약제가 스펙은 무시된 채 정품과 동일 취급받고 유통되고 있다. 지난 3월 30일 중동의 김태인 대표는 본지와의 인터뷰를 통해 “방부약제의 문제점 해결을 위해 산림청이 나서지 않고, 다른 기관에 떠넘기며 회피하고 있다”고 말문을 열었다.

지난해 7월 김태인 대표는 직접 국민권익위원회에 보존약제에 대한 문제점에 대해 질의를 했으나 국민권익위원회로부터 전문기관인 산림청에 문의하라고 답변이 돌아왔다. 이에 김 대표는 산림청에 질의했지만 산림청은 국립산림과학원의 몫으로 넘겼고 당시 산림과학원 내의 담당자로부터 “조만간 대책마련을 위한 토론회를 열겠다”는 대답만 돌아왔다. 하지만 토론회를 열겠다는 답변만 돌아왔을 뿐 아무런 대응이 나오지 않자 김태인 대표는 11월 경 다시 국민권익위원회에 국립산림과학원에서 보존약제의 문제점을 해결하려 하지 않고 있음을 지적하고, 이것은 직무유기 아니냐며 재질의를 하자, 이에 국립산림과학원에서는 국내 보존목재 전문가인 김영숙 교수를 초청해 토론회를 개최했다.

당시 김영숙 교수는 “보존약제 생산에 있어 아무나 만들게 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을 주장했지만 당시 국립산림과학원 업무 담당자는 “현재는 법이 없어서 할 수 없고, 보존약제는 환경부에 질의해봐라”는 말로 또다시 다른 기관으로 문제를 떠 넘겼다. 김 대표는 포기하지 않고, 2012년 1월 환경부에 방부제 관리감독문제로 요청을 했으나 산림청의 몫이라는 회신이 돌아왔을 뿐이었다. 결국 산림청은 2월 23일 서신을 통해 복제품에 대한 관리규정이 없으며 학계에 연구용역을 제시할 뿐 업무의 실제 담당자들은 적극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나서지 않고 있다.

지난 몇 년간 김태인 대표는 수차례 정부기관을 상대로 방부약제에 대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답변을 요청했으나 돌아오는 것은 회피뿐이었다. 김태인 대표는 “이렇게 2~3년이 지나 업무 담당자가 변경되면 또다시 원점으로 돌아가고 말 것”이라며 허무함을 감추지 못했다.

방부목 시장의 문제는 약제뿐만이 아니었다. 불량 방부약제로 방부처리 했는데 방부성능이 제대로 발현될 리 없다. 실제로 방부약 농도를 맞출 줄 알아야 침투량을 맞출 수 있는데, 어느 곳을 둘러봐도 중동 이외에 방부업체에 전문가를 보유하고 있는 곳은 없었다.

김 대표는 “보통의 생산업체에서는 고시에 맞는 H3, H4를 제대로 생산하기 어려운 게 현실인데 이런 문제들을 간과하다가는 방부산업이 WPC에 무너졌던 것처럼 또 다른 화학제품 시장에 밥그릇을 뺏기고 말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방부목재를 취급하는 유통업체들 마저도 약값에 대한 기준이 없고, 방부약제에 대한 인식이 없다는 것도 김 대표는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불량방부업체에서는 대게 제대로 된 건조와 양생과정을 거치지 않고, 2~3일 만에 제품을 납품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이건 마치 산모가 10달 걸려 아이를 낳아야 되는 데, 3달 만에 낳는 셈”이라고 설명하며 “앞서 지난 3월 27일 보존목재 세미나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미국, 일본, 독일의 우수한 사례를 하루 빨리 본받아야 하며 시설현장의 철저한 단속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세미나를 통해 국민대학교 임산생명공학과 김영숙 교수는 ‘(가칭)목재보존제 관리법 신설방안’을 제시했다. 세부 사항으로는 ▲(가칭)목재보존제관리법에 의거해 등록된 목재보존제는 ‘산림청 인증약제’로 활용 ▲약제명은 원제명과 함께 상품명 표시 의무 ▲원제명이 동일해도 제조회사가 다를 경우 신규약제로 취급(복사약제 무단 유통 방지)을 포함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김 대표는 “제대로 된 방부처리된 목재가 천 원이라면 불량 방부목은 삼백 원 수준이다. 하지만 소비자는 삼백 원짜리 불량 방부목을 천 원짜리 정품으로 믿고 사용하고 있으니 어쩌냐”며 쓴 웃음을 감추지 못했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