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NBS(National Bureau of Statistics)의 공식발표에 의하면 2012년 상반기 중국의 GDP는 3조6천억$로써 2011년 상반기대비 7.8% 성장했다. 작년동기 성장률보다 1.8% 낮은 성장을 한 것이다.
2012년 상반기 GDP 성장률이 낮아진 것은 미국과 유럽 등 경제위기로 인해 토지, 건물, 기계장치 등에 대한 국내투자가 2011년보다 덜 이뤄져 국내수요가 부진한데 기인하고 있다. 국내 수요부진은 모든 원자재의 수입을 감소시켰을 뿐만 아니라 목재류 수입도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2012년 상반기 중국의 목재류 수입량은 얼마나 감소됐는지 리뷰해보기로 한다. 


1. 2012년 상반기 목재류 수출량



 

 

 
2. 2012년 상반기 목재류 수입량



 

 

 

3. 원목 수입량
2012년 상반기 중국의 원목 수입량은 1891만2000㎥(금액으로는 약 37억$) 수입됐는데 작년동기 수입량보다 8.9%(금액으로는 4.8%) 감소됐다. 원목 수입량이 감소된 주요 원인으로는 토지, 건물 등에 대한 투자가 적게 이뤄진 가운데 국내 목재수요가 감소된데 기인하고 있다.

전체 원목 수입량의 67%를 차지한 침엽수 원목은 1276만4000㎥(18억$)이 수입됐고, 활엽수 원목은 614만8000㎥(19억$)이 수입됐다. 침엽수 원목은 작년 동기대비 16%(금액으로는 22%) 감소 수입됐고, 활엽수 원목은 콩고와 솔로몬산 원목이 증가 수입돼 작년 동기대비 9%(금액으로는 19%) 증가 수입됐다. 침엽수 원목 수입이 감소된 주요 원인으로는 부동산 가격의 상승으로 인해 신규 주택건설이 활발하지 못했고 이로 인해 침엽수의 소비가 감소된데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4. 침엽수 원목 수입량
아직까지 러시아산 침엽수 원목이 중국 침엽수 원목 수입량의 42%를 차지하며 1위 자리를 고수하고 있다. 하지만 2008년 89%, 2010년 64%, 2011년 44%로 줄어들고 있고, 그 지위를 뉴질랜드산, 미국산, 캐나다산에 물려주고 있다. 뉴질랜드산 침엽수 원목은 중국 전체 침엽수 원목 수입량의 29%를 차지하고 있다.
뉴질랜드산과 미국산, 캐나다산 침엽수 원목 수입량을 합하면 전체 침엽수 원목 수입량의 50%나 차지하고 있다. 침엽수 원목 수입량을 분기별로 보면 2012년 2/4분기 수입량이 1/4분기 수입량보다 7% 증가 수입되고 있어 2012년 1/4분기를 최저점으로 보고 침엽수 시장이 다시 살아난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5. 제재목 수입량
2012년 상반기 중국의 제재목 수입량은 1014만7000㎥(금액으로는 27억$)로 작년동기보다 1.6%(금액으로는 1.6%) 증가 수입됐다. 그 중 침엽수 제재목은 697만4000㎥(14억$)이 수입됐고, 활엽수 제재목은 316만7000㎥(13억$)이 수입됐다. 2012년 상반기 중국 제재목 수입량을 국가별로 보면 캐나다산 제재목(거의 BC주에서 수입)은 4.0% 증가됐는데 금액으로는 6.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캐나다산 제재목의 수입가격이 전년 동기에 비해 낮아졌음을 의미한다.

한편 러시아산 제재목은 6.5% 증가 수입됐었는데 금액으로도 7.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러시아산 제재목 수입가격이 전년동기보다 인상됐음을 의미한다.

침엽수 제재목 수입량도 분기별로 보면 2012년 2/4분기 수입량이 1/4분기보다 27% 증가 수입되고 있어 2012년 1/4분기를 저점으로 해서 시장이 다시 살아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도 한다.

 

 

 

 

 

 

 

6. 침엽수 제재목 수입량
2012년 상반기 캐나다는 중국 침엽수 제재목 수입의 제1국이 됐다. 중국 침엽수 제재목 총 수입량의 45%를 차지했다. 한편 러시아산 침엽수 제재목 수입량은 38%를 차지하며 2위로 밀려났다. 작년동기 36%보다 약간 증가하기는 했지만 2008년 53% 차지했던 것에 비하면 매우 낮아졌다.

 

 

 

 

7. 요약
1. 2012년 상반기 중국의 목재류 수입량은 둔화됐다.
2. PNG산, 솔로몬산, 콩고산 등 활엽수 원목 수입량이 증가했다.
3. 1/4분기 보다 2/4분기 수입량이 증가되고 있어 이를 시장이 다시 살아나고 있는 지표로 보는 견해도 있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