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부터 2012년까지 지난 5년 동안 목조건축 착공동수가 8천동에서 1만동을 약간 상회하는 수준에서 멈춰 버렸다. 대다수의 관계자들이 목조건축 착공동수가 매년 10% 이상 늘어나고 2015년쯤 되면 2만호 이상 지을 것으로 기대해 왔지만 예상은 완전히 빗나갔다.

국민들의 친환경 저에너지주택에 대한 관심이 점점 고조되고 있고 아파트에서 단독으로 주거형태를 전환하려는 움직임이 강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목조건축 통계는 5년 동안 매년 2%도 성장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져 그 원인에 대한 분석이 필요해 졌다. 분석을 통해 우리는 다시한번 목조건축의 성장엔진을 새로 만들어 내야 한다.

매년 1만동의 목조건축물이 착공되고 있지만 이 중 주택으로 분류할 수 있는 동수는 약 반 정도라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목조건축 자재사나 시공사의 경쟁이 치열해 지는 이유는 바로 목조건축이 성장의 한계에 봉착했는데도 진입하는 회사는 많기 때문이다. 목조건축이 지속적으로 성장하지 못하는 과정에서 과열경쟁이 발생하고 대부분의 시공업자들은 저가수주로 도산하고, 자재업자 또한 낮아지는 마진에 한번 울고 치솟는 환율에 두번 울고 덤핑에 세번 울고 있다. 희망이 사라지고 있다.

목조건축 시장이 커지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선 신뢰할만한 건축 정책이 없다. 또한 설계와 시공 인프라가 매우 취약하다. 유지와 보수에 대해 신뢰가 부족하고 합리적인 시공 가격이 아직도 형성되지 못했다. 협단체의 책임과 홍보도 매우 취약하다.

이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보면 아직도 목조건축은 건축주의 신뢰를 받을 만큼 성숙되지 못했다는 것이다.
목조건축 시장이 활성화 되려면 목조건축이 정부정책에 반영돼야 한다. 목구조공사 면허제가 도입돼 시공품질을 향상시켜야 한다. 단지개발 정책에 대한 인센티브가 부여돼 보다 안정된 주거환경이 조성돼야 한다. 국토부와 산림청에서 개발사업부지를 조성해 국민들에게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어떤 건축물보다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적고 폐기 후에도 재사용 또는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주택을 보급하는 것이야 말로 시대적 요구이기 때문이다.

목재산업의 꽃인 목조건축분야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실패를 교훈삼아 새로운 성장엔진을 재점화 해야 한다. 법과 제도에 근거한 정책도 필요하고 내부적으로는 품질신뢰와 적정 가격에 대한 합치된 의견도 필요하다. 이제 목조건축은 전원주택을 벗어나 도시·농촌·어촌·산촌에 맞는 주거 형식과 공간 그리고 커뮤니티에 대해 현실적 대안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목조건축이 규모화·집단화 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그래서 설계, 시공, 선택, 마케팅, 유지와 보수 등 여러 면에서 선진국 수준의 신뢰를 주어야 한다. 정부의 에너지 절감 정책에도 순응하는 패시브나 제로에너지 수준의 건축물 대안도 마련해야 한다.
우리가 공공적 투자와 희생없이 무조건 잘 되리라 생각한다면 그건 큰 착각이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