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재 이용은 양이 문제가 아니라 질이 문제다. 질을 높이는 방안없이는 저급 원료로 사용될 수 밖에 없다. 양질의 목재를 얻기 위해 육림도 중요하지만 이는 장기적 정책이 수반돼야 할 부분이다.

가장 시급한 것은 현재의 목재가치를 어떻게 높일 수 있는가다. 우리 산의 목재는 낙엽송, 잣나무, 소나무 등 침엽수가 주류이고 일부 활엽수가 생산된다. 건축 또는 산업용재로 낙엽송이 주로 이용되고 소나무나 잣나무의 이용비율은 현저히 낮다. 소나무는 대부분 보드원료나 펄프용 칩으로 공급되고 나머지는 연료용으로 공급되고 있어 부가가치가 현저히 낮아 문제다. 이런 상태로는 어느 누구도 조림하지 않으려 할 것이다.

산주의 임목소득을 높여주는 강도높은 정책이 그래서 필요하다. 산주가 희망을 가져야 임업이 미래가 있고 목재산업의 희망이 있다. 임업의 후방산업이 목재산업이 돼야 진정한 발전이 있다. 아직도 조경수나 산림작물소득이 목재생산소득보다 높다는 게 말이 되는가. 이는 정책적으로 시정해야 한다. 임목벌채에서부터 목재생산까지 부가가치를 최대로 높이는 정책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 보드원료나 펄프원료 그리고 연료로 사용되는 원료를 최대한 제한할 필요가 있다. 산림중앙회의 목재유통센터를 국산재 부가가치를 높이는 기술개발의 메카로 만들어 집중 육성할 필요가 있다. 적자내지 말라는 주문만 할게 아니라 목재기업들이 목재유통센터와 공동기술개발을 유도하고 특허로 보호해서 판매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 줘야 한다.

국산재가 부가가치 높게 이용되려면 건조시설에 대한 대규모 공공투자가 선행돼야 한다. 건조없는 품질보장은 어렵기 때문이다. 국산 활엽수의 경우만 해도 펄프나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 굵은 직경의 원목을 벌채현장에서 쪼개서 쓰는 정말 한심한 사례들이 비일비재하다. 고급 소재인 국산 활엽수는 벌채해서 일정한 장소에 모아 제재하고 건조해서 가구재나 인테리어 소재로 활용돼야 한다. 침엽수재는 건축재나 인테리어 소재로 대량 사용할 길을 찾아야 한다. 안되면 일본처럼 공공기관 시설물에 의무사용비율을 만들어서라도 국산재의 고부가가치 사용을 늘려줘야 한다.

산림청은 목재가공기술개발, 목재저장시설, 목재건조시설, 목재가공시설 등에 예산을 집중투입하고 획기적인 유통시스템도 도입해서 국산재가 목재제조업체에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해줘야 한다. 예산과 인력을 투입해줘야 한다.

국산재 정책에 많은 한계가 있다는 점도 인정한다. 그렇다고 해서 저급원료로 사용될 수 밖에 없는 한계를 인정하자는게 아니다. 저급 목재를 고부가가치로 이용하는 것은 세계적 추세다. 우리도 연간 400백만 입방미터에 이르는 막대한 국산재에 대해 확실하게 눈을 떠야 한다.

직경이 적거나 굽어서, 또는 생산비용이 높아서 등의 이유로 국산재의 부가가치 이용의 길을 외면한다면 이는 산주에 대한 배신이다. 임업을 송두리째 실종시키는 일이다. 그래서 늦었지만 현실적으로 가능한 부분부터 대안을 만들어 보자는 것이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