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문화재급 건축물의 부실시공에 대한 말이 많았으나 관계자들은 미온적으로 대응해 왔다. 급기야는 국민적 관심사였던 국보1호 숭례문의 재현공사에 사용된 목재가 러시아산이라는 의혹이 제기되었고 총괄책임자였던 신응수 대목장이 입건돼 경찰조사를 받는 상황 속에서 공사에 사용된 목재는 국립산림과학원에 DNA 검사의뢰가 되는 초유의 일이 벌어지고 있다.

숭례문 복원 이후 기둥과 보에 사용된 목재가 심하게 갈라진 현상과 숭례문 복원에 사용된 목재의 원산지 논란이 증폭되고 장기화 되서는 곤란하다는 입장이다. 이 문제는 해답이 없는 모호한 게 아니다.

문화재급 건축물의 수리와 복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과학적 접근이 배재되고 과거의 방식에 고집한 소수의 전유물이 됐다는 점이다. 소수의 대목장에 의해 공사가 좌지우지 된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체계적인 시공감리와 감사에 대한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되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여러 보도에 의하면 숭례문에 사용된 목재가 금강소나무냐 아니면 러시아 적송이냐 하는 게 이슈다. 금강소나무가 아니고 러시아산 적송이면 시세차익을 노린 파렴치한 사건이 될 것이고, 국산으로 판명되면 투서에 의한 해프닝으로 끝날 것이다. 국내 언론은 사건의 본질보다는 소설에 가까운 접근을 해서는 안 된다. 물론 국산 대경 소나무의 부족으로 고건축공사에 러시아산 적송이나 북미산 미송이 종종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지만 숭례문은 목재사용량도 작고 국민의 관심이 고조된 복원사업에 목재를 바꿔치기 했다는 의혹제기는 신빙성이 매우 떨어져 보인다.

금강 소나무와 러시아 적송은 해부학적인 차이가 없다. 즉 현미경으로 조직의 차이를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필연적으로 이를 악용한 사례들은 분명하게 존재하게 된다. 러시아산 적송을 국립산림과학원이나 임업진흥원에 수종식별을 의뢰하면 육송이라고 판정해준다. 때문에 이를 악용하는 사례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다른 방법은 없는 것 일까? 원목을 취급하는 사람들은 원목의 형상이나 껍질, 재색만 보아도 이 둘을 쉽게 경험적으로 구분한다. 따라서 현미경적으로는 판별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과감하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

국립산림과학원이나 한국임업진흥원이 육안적 식별을 도입해 판정해 주어야 한다. 특히 문화재용 목재는 이력을 관리해야 한다. 바코드를 도입해서 벌채부터 사용까지 관리하는 시스템이 있어야 한다. 그러면 이런 문제는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게 된다.

관련연구기관에서는 작은 샘플만으로 소나무의 원산지를 판명해 줄 수 없음이 분명하기 때문에 원산지 판명 방식은 반드시 시정되어야 한다. 연구기관은 문화재용 목재에 대한 육안적 판별제도를 두어 현장에서 판정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가끔 농산물의 경우 국산과 외산 여부를 판단하는 장면을 보면 외산의 형태적 다름에 대해 말하고 하는데 목재도 동일한 식별이 가능하리라 본다. 중국산 마늘은 어떻고 참깨는 어떻고 하는 식이다. 마늘이나 참깨는 해부학적으로 식별해 산지를 알 수 있는 내용은 아니다. 이게 이번 사건을 통해 개선해야 하는 부분인 셈이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