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재산업이 발전하려면 법과 제도도 중요하지만 국민의 생활수준에 맞는 목재제품이 개발되어야 한다. 특히 건축법이나 실내공기질관리법 등에 문제가 없는 제품개발이 시급하다. 대부분의 기업들이 제품개발을 하고자 하는 열망은 가득하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기술개발 인력과 장비 그리고 특허등록과 유지에 들어가는 비용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또 기술개발은 글로벌 경제 체제 속에서 국내뿐만 아니라 외국의 제품까지 넘어서야 성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품개발을 하다 자금난으로 문을 닫는 회사도 드물지 않게 보게 된다. 또 유사한 제품을 흉내내는 수준의 개발도 문제지만 개발하고자 하는 의지가 전혀 없는 현실이 더욱 문제다. 심지어는 규모가 큰 중견기업도 신제품을 내놓지 못하고 이종산업으로 투자를 늘리는 기현상마저 낳고 있다.

기술개발과 투자없는 목재산업의 미래는 암담하다. 기술개발 의지가 있는 회사도 자금을 마련하지 못해 포기하거나 적당한 수입제품으로 대체하기 일쑤다.

또 기술개발자금을 정부나 다른 기관으로부터 받으려 해도 어프로치 하는 기획이나 문서작성 능력이 타 분야에 비해 많이 떨어진다. 산업통상자원부나 환경부에서 기술개발과제를 내놓고 심사를 하면 목재기업이 받는 사례는 극히 드물다. 현실에 맞는 과제도 없을뿐더러 과제자체가 발표되는 과정속에서 논의나 로비는 거의 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 문제는 목재산업을 관장하는 산림청이 심도있게 다루어야 하고 최소한 연간 100억원 이상의 기술개발자금을 확보해서 목재기업들이 제품 개발을 할 수 있게 해 주어야 한다. 그래야 수출상품도 나올 수 있고 경쟁하는 대체제와 싸울 수도 있을 것이다. 산림청이 목재산업을 지원한다고 하고 몇몇 시설을 만들어 주는 게 다가 아니다.

목재산업도 디자인이나 성능면에서 경쟁력 있는 제품이 쏟아져 나와야 비로소 산업의 위상이 세워지는 것이다. 기술개발자금을 매년 확보해 지속화시키면 기업과 대학 그리고 연구기관과의 협력관계도 밀접해 질 것이다.

필요한 성능을 지닌 목재제품이 개발되면 건축, 인테리어, 조경, 가구 등에 적용되면서 새로운 수요를 만들어 낼 것이다.

약 1조8천억원의 예산을 사용하는 산림청은 0.5%에 해당하는 100억원을 목재산업의 기술개발자금으로 배정해야 한다. 그래야 국산재의 이용도 가능해질 것이고 수출경쟁력을 갖춘 목재제품 개발도 가능해질 것이다.

각종 규제법에 의해 목재제품의 사용이 가로막혀 있다. 이를 기술개발을 앞세워 성능을 충족하게 하면 시장이 확대될 것이다.

지금처럼 수입 제품 중심의 산업은 가격과 품질면에서 긍정적 신호를 못 보내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기술개발 과제를 통한 목재 제품 개발로 새로운 영역을 만들어 내야 한다.

목재산업 말고 대부분의 산업들이 신기술을 개발해 성과를 내고 있지 않은가. 엄청난 예산이 투입돼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 우리가 가만있으면 목재 제품은 경쟁력을 잃게 될 것이다. 후퇴할 것이다. 산림청이 이런 예산이 전혀 없다는 것이 아니다. 목재산업이 피부로 와 닿게 하는 기술개발 자금을 확보해 달라는 주문이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