삭편판 3

<그림 1> 3층삭편판(A), 수직단층삭편판(B), 배향성 스트랜드보드(C), 복합합판(D), 복합적층재(E), 목모시멘트보드(F) 및 삭편시멘트보드(G).
④ 표면의 연삭(sanding) 유무에 따른 분류
a. 양면연삭삭편판: 연삭으로 양쪽 면 모두가 평활해지도록 조정한 것.
b. 편면연삭삭편판: 연삭으로 한쪽 면만이 평활해지도록 조정한 것.
c. 소판(素板)삭편판: 양면 모두 연삭을 통해 평활하게 조정되지 않은 것.

⑤ 난연성에 따른 분류
a. 난연삭편판: 내화약제 등의 처리를 통해 내화성이 부여되어 있는 것.
b. 보통삭편판: 내화성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것.

⑥ 비중에 따른 분류
a. 경량삭편판(low-density particleboard): 비중 0.25~0.40인 삭편판을 일컫는데 절연용으로 주로 쓰인다.
b. 중용삭편판(medium-density particleboard): 비중 0.40~0.80인 삭편판을 일컫는데 가구 및 건축용으로 쓰인다.
c. 경질삭편판(high-density particleboard): 비중 0.80~1.20인 삭편판을 일컫는데 가구나 비품, 장식장, 차량 내장재, 주택용 비늘판, 콘크리트 거푸집 등의 용도로 쓰인다.

⑦ 목재 삭편의 형태에 따른 삭편판
a. 삭편판(particleboard): 목재 가공 공정에서 파생되어 나오는 대팻밥, 죽데기 등의 폐잔재를 사용하여 제조한 침상형의 목재 삭편과 요소수지접착제 등과 같은 내장용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판상재료로써 가구나 장식장 부재, 각종 목공품 등과 같은 조작용 재료로 사용된다.
b. 웨이퍼보드(waferboard), 플레이크보드(flakeboard): 작은 직사각형 모양의 단판 조각을 닮은 웨이퍼나 플레이크와 석탄산수지접착제 등과 같은 외장용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판상재료로써 침엽수 합판의 대용으로 지붕이나 벽체용 덮개, 비늘판 등의 건축 구조재로 사용될 수 있다.
c. 배향성 스트랜드보드(OSB, oriented strandboard): 가늘고 긴 형상의 스트랜드와 석탄산수지접착제 등과 같은 외장용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판상재료로써 합판의 구성 형태처럼 인접 층간의 목리가 서로 직교되도록 구성하여 제조한다(그림 1의 C). 3층 또는 5층의 형태로 제조될 수가 있으며 웨이퍼보드와 마찬가지로 지붕이나 벽체용 덮개 등의 건축 구조재로 사용될 수 있다. 배향성 스트랜드보드를 심판으로 사용하고 이 배향성 스트랜드보드의 목리에 대해 직각이 되도록 그 양쪽 표면에 단판을 적층하여 제조한 복합합판(com-ply, composite plywood) 그리고 배향성 스트랜드보드의 양 가장자리에 단판적층재(LVL, laminated veneer lumber)를 접착시킨 복합적층재(LCL, laminated composite lumber) 등이 주택 등의 건축재료로 쓰인다(그림 1의 D~E).
d. 트리보드(triboard): 무배향의 스트랜드로 이루어진 심층의 양쪽 표, 리층에 섬유를 적층하여 제조한 것으로써 스트랜드를 심층에 배치함으로써 휨강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표, 리층에 목섬유가 배치되어 있어 표면은 치밀하고 평활한 특징을 지니게 된다. 이러한 표면 특성으로 인하여 단판이나 라미네이트(laminate) 오버레이 가공성이 우수하다. 트리보드 형식의 제품 가운데 밀도가 낮은 것을 스페이스보드(spaceboard)라고 따로 부르는데 심층의 스트랜드가 녹색으로 착색되어 있기 때문에 트리보드와 쉽게 구별될 수가 있다. 칸막이, 문, 벽, 계단의 발판 및 내장용 구조물로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주택 전체를 트리보드만으로 지을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내력벽으로는 두꺼운 것이 사용되기도 한다.

<다음호에 계속됩니다.>
국민대학교 임산생명공학과 엄영근 교수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