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삭편판은 측면에 빈 틈새가 다량 존재하여 바로 곡면 가공하거나 마무리해 주기 어렵기 때문에 가구 제조시 대개 곡면 가공된 다른 재료를 붙여 사용하는 것과는 달리 중밀도섬유판은 고도로 정쇄된 원료에 의한 것으로 삭편판보다 두께 방향 밀도가 더욱 균일하기 때문에 거의 소재와 마찬가지로 측면을 평활하고 깨끗한 곡면으로 가공해 줄 수 있다.
또한 중밀도섬유판은 평활한 재면으로 마무리한 다음 나무 무늬를 인쇄해 줄 수 있기 때문에 단판이나 적층재를 사용할 필요가 적어지게 된다. 이런 이유로 인해 중밀도섬유판은 가구 제조용 판상재료 시장에서 나름대로 자리를 잡고 있다. 또 다른 용도로 제재목만큼 강도를 필요로 하지 않으나 평활하면서 인쇄 또는 도장이 가능한 재면을 필요로 하는 벽판 널을 들수가 있다. 중밀도섬유판은 곡면 가공 및 마감처리를 통해 고가의 걸레받이로 이용될 수 있다.
석고, 포틀랜드 시멘트 또는 마그네사이트(magnesite)와 같은 무기계 결합제와 목섬유를 사용한 일부 제품들이 상업화되어 있다. 섬유는 휨강도와 유연성을 부여하는 반면 결합제는 화재 및 흰개미에 대한 저항성과 같은 바람직한 성질을 부여하게 된다. 시멘트에 의한 일부 목섬유계 제품들은 수분, 흰개미 및 부후에 대해 저항성을 지니는 것으로 밝혀졌다. 부후와 곤충에 대한 저항성은 높은 pH에 의한다.
이들 제품 가운데 일부는 결합제 및 목섬유뿐만 아니라 미립자로 분쇄된 모래를 지닌다. 시멘트 결합제에 의한 제품들은 대개 1,600㎏/㎥까지의 높은 밀도를 지니는 특징이 있는데 목섬유만에 의한 제품보다 휨강도가 더 우수하나 유연성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제품들은 겹침형과 수직형 비늘판(lap and vertical siding), 지붕널(roof shingle), 타일 지지체와 기초(tile backer and underlayment) 등의 용도로 이용하기에 매우 적당하다. 외장용 제품인 경우 액상 수분이 흡수되어 얼게 되면 균열 등의 갈라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하지 마감재료로 처리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국에 있어 시멘트 결합제에 의한 비늘판의 판매량은 1997년 11만㎡에서 2001년 61만㎡으로 증가했으며 앞으로도 더욱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004년까지 이들 비늘판이 차지하게 될 시장 점유율은 1994년에 비해 2배 이상 증가된 30%가 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재활용 목섬유와 석고 결합제에 의한 제품은 유럽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북미에서도 생산되고 있다. 이 제품은 벽이나 천장에 시공되는 일반적인 석고보드의 대체재가 되고 있다. 일반적인 석고보드는 2장의 두꺼운 종이판 사이에 석고를 끼워 넣어 제조한 제품이다. 재활용 섬유와 석고 결합제에 의한 제품은 판상재료 두께 전체에 걸쳐 목섬유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다.
최근 강화 충전제로 폐지 또는 폐목섬유를 사용한 여러 열가소성 고분자에 의한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제품 역시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표 1).

목섬유와 열가소성 합성 플라스틱 섬유를 공기의 힘을 이용하여 부직포식 매트로 성형한 다음 열압을 통해 제품을 생산하거나 또는 용융된 열가소성 플라스틱에 목섬유를 혼합한 다음 이 혼합물을 주물을 통해 사출하거나 주입 성형하여 제품을 생산하게 된다.
이들은 가구용 부재, 마루 바닥재, 실내 장식재, 자동차 부품 등의 용도로 쓰이고 있으나 가장 큰 시장 하나는 실외용 데크(deck)이다(그림 1).


<다음호에 계속됩니다.>
국민대학교 임산생명공학과 엄영근 교수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