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사사무소 미추 대표 NS주택문화센터 원장 송재승


어렸을 때 겨울을 생각하면 춥다는 기억뿐이다. 머리맡의 사발물이 꽁꽁 얼 정도로 단열이 안된 집에서 겨울을 지냈었다. 그러다 보니 얼마전 까지만 해도 집을 지을 때 단열을 하는 것은 낭비라고 생각했었다. 얼마나 단열을 안했으면 사용검사신청시 단열재 구입영수증을 첨부하라는 강제규정이 있었던가. 세상은 바뀌어 요즈음은 단열 정도가 아니라 패시브니 제로하우스니 하며 저에너지로 지어진 집들까지 늘어나고 있다. 동시에 건축법의 단열 규정도 빠르게 강화되고 있다. 이런 긍정적인 현상은 매우 환영할 일이지만 그렇게만 볼 일도 아닌 것 같다.
단열재 영수증 첨부 같은 형식적인 단열 행정이 반복되지는 않을까 하는 염려 때문이다. 현행 법 규정에서는 단열기준만 있지 집 전체의 단열성능을 확인하는 규정이 없다. 단열성능이 높은 집을 얻으려면 단열에 적합한 설계와 시방서가 있고, 단열자재들을 쉽게 구하며 단열시공기술을 공유하고 그리고 집 전체의 단열성능 테스트가 시행되어야 한다.
이런 여건이 조성되어 있지 않은 현실에서 저가 공사비라는 걸림돌까지 겹쳐 있다. 그래서 생각해 보는 것이 공사비 증가는 최소화 하면서 단열 목표치를 달성하는 현실적인 방안은 없을까?
첫 번째 방안으로 집의 외피를 최소화하는 설계를 하는 것이다. 지붕과 외벽의 면적을 줄이면 단열면적이 줄어든다. 경사 지붕 속을 다락 2층으로 계획하면 냉난방 공간이 줄어든다. 이러한 심플한 박공 다락 설계는 공사비를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다. 두번째로 단열공사에서 기밀시공에 중점을 두는 방안이다. 단열 테스트에서 일반시공의 2×6단열벽과 틈새메꿈을 철저히 한 2×4단열벽을 비교해 보면 얇은 2×4벽의 단열성능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기밀시공의 핵심은 틈새메꿈이다. 틈새메꿈에서 창문주위와 외벽 콘센트 주위를 최우선으로 하는데 이때 기밀에 필요한 발포 단열재, 씰란트, 기밀테이프, 후레싱 등의 자재는 용도에 적합한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 이런 자재들은 내구성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실속있는 단열방법으로 가급적이면 창면적을 적절히 작게 설계한다. 벽단열값을 아무리 높여도 창면적이 크면 총단열값은 낮아진다. 이유는 창의 단열성능은 열반사 필름에 앨곤가스를 주입한 고단열창이라도 2×6외벽 단열값의 1/6 이하로 매우 낮기 때문이다. 창을 설계할 때 서측과 북측의 창은 줄이고, 미서기창보다는 기밀성이 높은 여닫이창이나 어닝창을 선택한다. 이상의 단열방안들은 현장에서 철저한 공사감리와 성능확인 없이는 무의미하다. 단열 및 기밀 성능테스트의 의무화가 요구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현실적인 공사비에 적합한 단열방안을 찾는데 지혜를 모을 때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