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목재신문=한국목재신문 편집국]

임업통계연보에 의하면 2019년 우리나라 산림의 단위면적당 임목축적량은 161.4㎥/ha이며, 국내 산림의 총 임목축적은 10억㎥에 달한다. 임목축적량은 2018년과 비교해 ha당 3.6㎥가 증가한 셈이다. 전체 산림면적 630만ha 중 53.4%인 336만ha가 산림경영면적에 해당한다. 우리나라의 5년 평균 조림면적은 23천ha이고 숲가꾸기는 267천ha에 달한다. 매년 전체산림면적의 0.36%에 해당하는 면적이 조림이 되고, 4.2%에 해당하는 산림이 숲가꾸기 대상이 된다.

한해 원목생산액은 4,098억 원으로 추정 되고, 2025년의 추정액은 4,065억 원으로 더 감소할 전망이다. 2020년 국내원목생산량은 406만㎥로 추정되고 이 중 침엽수재가 238만㎥, 활엽수재가 168만㎥를 차지할 것으로 분석된다. 국산원목은 섬유판에 31.9%, 목재칩용 24.5%, 재재용 13.4%, 장작 13.1%순으로 공급된다. 우리나라가 2030년에 산림부분 온실가스 감축목표 22백만 톤을 달성하려면 현재 53.4%인 산림경영 면적을 91%까지 높여야 한다는 산림과학원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우리나라 산림의 순임목생장량은 갈수록 낮아지고 있고 벌기령에 도달한 5~6영급 이상의 임목도 2030년에는 70%에 달한다. 산림의 노령화로 2050년이 되면 임목생장량도 4.3㎥에서 1.9㎥로 50% 이상 줄어들게 된다는 경고다. 이렇게 장황하게 수치를 늘어놓는 것은 ‘경제림 확대’ ‘벌채자원 고부가가치화’ ‘국산목재 산업 활성화’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경제림 조성은 산주의 기대이익을 현실화시키는 가장 중요한 포인트다. 경영이 가능한 산림 면적의 확대가 실질적으로 필요하다. 국산재 이용률 사수를 위한 벌채량 확대는 반대하지만 산주의 소득향상과 벌채자원의 순환적 공급과 합리적 이용을 목표로 하는 벌채량 증대는 환영이다. 벌채한 국산재로 고부가치 시장을 창출하는 새로운 제품개발 정책이 절실하다. 국산재 이용 활로의 신동력을 만들어야 한다. 벌채된 원목을 저장하거나 건조된 제재목을 공급하는 센터를 세워 전국적으로 국산재의 공급망을 연결해줘야 한다. 글로벌 수준의 상품 디자인 개발과 개발자의 저작료 그리고 IT를 기반한 글로벌 온라인 판매까지 연결된 시스템 개발에 국가가 큰 투자를 해야 한다. 이렇게 하면 고부가가치 활용도가 거의 없는 활엽수 제품시장이 생겨난다. 침엽수재는 가능하면 제재비율을 30% 이상 높여서 건축자재나 조경시설자재로 수입 대체 시장을 넓혀가야 한다. 산림청은 국산재의 미래를 산림조합의 유통센터나 지역조합을 통한 축적된 결과로 판단해서는 안 된다. 우리나라의 산림조합의 목재사업은 일본과 비교해도 한참 멀었다.

마찬가지로 산림청과 산림조합과의 느슨한 업무협력 관계도 비판받아 마땅하다.

우리나라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도 노령화한 산림의 벌채와 순환조림 확대는 당연하지만, 지금은 벌채된 원목의 제재이용률을 높이는 정책이 절실하다. 4영급 이상이 80%나 되는 산림에서 생산한 원목의 제재율을 높이면 고용창출의 기회가 전국적으로 생겨난다.

침엽수 원목은 건축재나 조경시설재로, 활엽수 원목은 가구나 생활용품, 선물용품, 인테리어소재, DIY소재로 공급되면 수천억 원의 시장을 창출하게 된다. 수출상품 경쟁력을 키우면 국산재의 수출을 통해 고용창출과 외화획득의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을 수 있다. 산림청은 국산재 이용에 대해 시장가치를 높일 수 있는 대안을 내놓길 바란다. 2021 산림임업전망 발표대회에는 그런 길이 보이지 않았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