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목재신문=윤홍지 기자]

유럽은 연간 2.6천만 톤의 플라스틱 폐기물을 발생시키고, 미국은 플라스틱 생산량 3.5천만 톤 중 9% 만이 재활용되는 등 전 세계적으로 플라스틱 폐기물의 양이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배달, 택배 등 비대면 소비가 늘어 플라스틱 사용이 급증하고 있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바이오 플라스틱 연구가 시급하다.

시대적 필요성에 따라 세계 각국은 기존 플라스틱 사용을 규제하거나 바이오플라스틱으로 대체하는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화이트바이오 연대협력 협의체’ 발족 등 바이오플라스틱 개발에 관한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이에,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박현)은 바이오플라스틱 분야 연구역량 강화 및 바이오플라스틱 원료로서의 목재의 활용가치를 모색하기 위해 지난 28일(금)에 ‘국내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연구 동향’이라는 주제로 전문가 초청세미나를 개최하였다.

바이오플라스틱 전문가 세미나.

한국화학연구원 바이오화학소재 연구단장이자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교수인 황성연 단장의 주제발표로 진행된 이번 세미나는 ▲국내외 바이오플라스틱 시장 및 연구 현황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연구 동향 및 결과 ▲기능성 바이오플라스틱 연구 동향 및 결과 등 바이오플라스틱 연구의 핵심 분야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이날 세미나에서 황성연 단장은 토양이나 해양에서 쉽게 분해될 수 있는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은 바이오플라스틱 중에서도 가장 직관적으로 이용·배출할 수 있는 개발 가치가 높은 분야임을 강조하였다. 또한, 국내 지속가능한 자원인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가 바이오플라스틱의 원료로써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했다.

바이오플라스틱은 기존 석유계 플라스틱과 유사한 수준의 물성과 더불어 친환경성까지 필요해 경제성을 확보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플라스틱 사용 규제가 강화되고 바이오플라스틱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이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 바이오플라스틱 시장은 연평균 20% 이상 성장하여 2022년까지 400억 달러 이상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되며, 국내도 2022년 370만 톤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이와 같은 흐름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목재 기반 바이오플라스틱 대체 소재 개발과 목재로부터 바이오플라스틱의 원료화합물을 생산하는 연구과제들을 추진 및 계획 중이며, 관련 산업계 및 학계 전문가들과의 연구 교류를 지속할 예정이다.

임산소재연구과 안병준 과장은 “국내 일부 대기업에서도 이미 바이오플라스틱 제품 상용화 기술을 확보해가고 있으며, 여러 대학 및 연구소에서도 관련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라며 “국립산림과학원도 친환경 바이오플라스틱 연구 분야에서 목재가 가치 있는 원료로 사용되고 탄소중립 달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새로운 연구방향을 수립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