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목재신문=윤형운 기자]

▷ 목재생산과 이용, 탄소중립사회에 매우 중요

벌채와 목재이용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필수적 선택이다. 코로나로 인해 대부분의 나라는 목재자원을 전략적으로 다루고 있다. 건축에 필요한 기초 목재자원을 확보하는 게 중요하다는 새로운 시각이 생겼다.

목재자원이 빈약한 한국은 코로나19 이후 목재생산국에 온갖 애원을 해도 필요한 양을 제때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다른 나라에서 수입해 오는 나무와 상관없이 우리 산의 목재이용은 안 된다는 식의 발상은 지구온난화 대응과 모순된다. 지구 온난화를 일으키는 온실가스 발생의 30%는 건물을 짓거나 유지할 때 발생하고 폐기물의 40%도 건물에서 나온다. 그래서 온실가스를 획기적으로 줄이려면 건축분야의 혁신이 요구된다. 영국, 프랑스, 독일, 스위스, 미국, 캐나다, 일본, 호주 등의 국가에 서는 건축과정과 건물유지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줄이기 위해 목조건축을 장려하는 정책을 적극적으로 실행 중이다. 이미 지어진 바 있는 고층목조건축도 우리에게 좀더 가까운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기후레짐(Climate regime)에 대응하기 위해 대부분 나라는 자국에서 생산되는 목재를 이용하는 정책에 집중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우리도 양질의 목재생산을 위한 경제림 조성에 사활을 걸어야 한다. 산림청의 조직도 경제림 조성과 목재이용환경에 맞는 변화가 필요하다.

우리나라 산림은 경제림 조성이 늦어 굽어진 소경목이 많아 제재이용율이 매우 낮다. 그래서 국산재를 제재한 후 남은 죽더기를 섬유판에 사용하거나 가공후의 톱밥을 펠릿에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 경제림 조성을 통해 생산된 용재로 연간 5조(펄프와 가구포함 34조)에 달하는 목재 수입을 줄이고, 국내 목재가공산업을 육성해 고용을 창출하며 장기간 탄소고정을 하는 제품을 양산해야 할 날을 당겨야 한다. 굳이 탄소중립이라는 거창한 말이 아니어도 좋다. 이를 위해 모두가 머리를 맞대는 날이 빨리 오길 바란다. 국민을 위한 산림복지, 생태, 휴양, 치유도 좋지만 임업인을 위한 임업정책이 가장 우선인 산림청이 되길 바란다. 임업은 교육백년대계보다 더 중요하고 보다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는 길이 있다.

우리나라보다 앞서가는 일본에서도 이런 걱정을 한다. 일본 산림·임업학습관 사이트에는 “일본 산림에서 어린 묘목수가 줄고 고령화가 탐탁지 않은 이유는 다음 세대에게 일본의 산림자원을 남겨 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일본을 국토면적의 70%가 산림이 어서 국내에서 더 이상의 조림은 한계가 있다. 산림자원을 차세대에 남겨주기 위해서 성숙한 육성림의 나무를 벌채해 자원으로 유효하게 활용하는 것과 더불어 벌채지에서 어린나무를 심고 처음으로 자원으로서의 세대교체가 이뤄지고 지속가능한 산림 자원이 된다는 것이다”라고 쓰여 있다. 또한 “일본의 산림은 온난화방지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고 있지 않다. 수령이 오래된 나무보다 어린나무의 성장이 왕성하기 때문에 온실효과 가스(CO2)를 보다 많이 흡수한다.

그렇기에 성숙기의 나무를 벌채하고 어린 나무를 심는 것은 지구온난화 방지에도 이어진다. 지구온난화 방지를 향한 산림에 기대가 크고 교토의정서 제1 약속 기간에 일본의 온실효과 가스배출 삭감목표의 2/3을 산림이 짊어질 것입니다”라고도 쓰여 있다.

일본은 임목축적 52억㎥(한국의 5배), 자급율 32.4%(한국의 2배), ha당 임목축적 207㎥(한국의 1.3배)에 달한다. 경제림을 조성하면 탄소흡수도 탄소고정도 모두 해결된다. 우리가 부러워하는 일본도 차세대에 물려줄 산림을 걱정하지 않는가? 임업을 이해하지 하는 사람들이 하는 벌채논란에 더 이상 무슨 말이 필요하겠는가.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