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목재신문=한국목재신문 편집국]

우리나라는 한해 약 2천7백만㎥에 달하는 목재와 목재제품을 사용한다. 국민 1인당 0.5㎥에 달하는 양이다. 이는 전 세계 인구의 1인당 평균사용량과도 같다. 과거나 지금이나 전 세계 산림에서 생산된 목재의 50%는 연료다.

후진국일수록 연료의 비중은 높아진다. 우리나라에서 생산된 목재는 펄프와 종이와 목질 패널을 만드는 데 대부분을 사용되고 일부는 바이오에너지용 펠릿으로 쓰이거나 제재목으로 가공돼 건설이나 건축 그리고 가구재나 인테리어소재에 쓰이는 실정이다.

전쟁이후 땔감조차 없어 낙엽, 솔가지나 솔방울마저 태우다 보니 대부분의 산림이 황폐화됐다. 그런 산림의 70%에 달하는 면적을 우리는 조림을 했고 보란 듯이 조림성공 국가가 됐다. 그때 그 당시 ha 당 임목축적이 5.33㎥이었다. 지금의 161.4㎥의 3.3% 수준이었다. 헐벗은 산의 토질이 좋지 못해 주로 홍수방지를 위한 사방이나 연료림을 조성했었고 용재를 생산하는 경제림 조성에 나선 역사는 길지 않는다.

산림청이 ‘30억 그루 심는 경제림 조성’에 나서면서 그 숫자에 놀란 일부 환경운동가들이 ‘환경파괴’라는 의혹제기에 나섰고 오마이뉴스를 시작으로 여러 매체에 보도되다 KBS ‘시사직격’ 프로그램까지 방영되기 이르렀다. 하지만 실상을 들여다보면 매년 벌채해 온 산림에 조림한 정도를 약간 웃도는 수준일 뿐이다.

싹쓸이 벌채, 어린나무도 잘라내는 벌채, 산사태를 일으키는 벌채, 시간이 지나면 더 우량한 나무로 성장하는 데도 하는 벌채, 토양에 저장된 탄소고정을 잃게 하는 벌채 등 심지어 시간이 지날수록 나이테가 넓어진다는 주장 등 모르는 국민들이 들으면 혹할 수밖에 없는 의혹 제기와 주장은 ‘산림이용’에 대한 환경운동가들의 숨은 의도를 드러내기 충분했다. 산림청을 환경부로 가져와 밥그릇을 뺏겠다는 그들의 의도가 보인다. 그들에게는 나무를 키워 수익을 얻는 임업과 그 나무를 이용하는 목재산업과 그 제품을 이용하는 국민은 온데간데없고 벌채를 놓고 논리도 과학도 없는 논란만 가져 오고 있다. 산림선진국에서는 이런 식의 논란은 하지 않는다. 벌채된 나무를 어떻게 쓰는 가를 걱정한다. 유럽의회는 2030년까지 30억 그루의 나무를 심는 새로운 목표를 설정했다. 목재의 순환이용을 의무화하거나 권장해 장수명이용을 늘리려 한다.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등이 모든 게 기후변화대응 전략에 해당한다.

우리가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목재와 목재제품은 불과 15% 정도만 자급한다. 턱없이 부족한 목재는 수입을 해 왔고 그 양은 50년 동안 약 10억㎥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우리나라 산림의 총임목축적량에 해당하는 량이다. ha당 세계의 평균 임목축적이 114㎥임을 감안하면 해방이후 지금까지 우리는 우리나라의 산림면적 이상에 해당하는 다른 나라의 산림을 벌채해 쓴 셈이다. 기후변화로 전 지구적 대응이 중요한 이때에 우리산림의 벌채는 안 되고 다른 나라의 산림의 벌채는 아무렇지도 않은 ‘내로남불’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목재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강력하고 입증된 대책이 경제림조성이다. 우리가 사용해야 할 양 만큼은 벌채하고 조림해 키워서 다시 벌채하는 용도의 경제림 조성은 지구환경을 위한 의무이자 책임에 가깝다. 일본의 60년 조림 역사를 통해 분석된 바에 의하면 경제림은 천연 림보다 4~5배 임목축적량이 많다. 천연림(방치림)으로는 우리가 필요한 목재를 조달할 수 없다. 우리 산림은 경제림이라기 보단 조림 후 가꿀 예산이 없어 방치된 숲에 가깝다. 그 숲의 나무는 오래 두어도 꽁치가 고등어 되지 않는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