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판업계에는 아직까지도 납득이 가지않는 한 가지 의문점이 있다.

그것은 1969년 왜 대성목재가 부실기업으로 정리되어 조흥은행 관리업체로 넘겨졌을까 하는 점이다.

공장을 하나 더 짓기 위해서 차관도 얻어썼고, 은행돈도 많이 빌려썼으니 부실하다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1969년이면 합판회사들이 한참 잘 될 때이다.

1969년에 공화당 정부는 부실기업정리팀을 만들어 팀장에 장덕진 씨(후일 농림부장관)를 임명하여 대성목재를 부실기업으로 정리하고 당시 군에서 예편해 있던 황필주 씨를 사장으로 임명하여 대성목재를 운영하게끔 하였던 것이다.

당시 합판업계에서는 대성목재 사장 전택보 씨가 공화당 정부에서 요구하는 정치자금을 거부했기 때문에 괘씸죄를 적용받았다는 얘기가 팽배해 있었다. 과연 그랬을까?

그때의 정황으로 봐서 단지 추측의 얘기일까? 그에 대한 정확한 사료는 아직까지 없다. 단지 전택보 씨의 과거 행적을 알아보고 추정하는 수밖에 없다.

1960년 4월 19일, 4·19혁명이 일어났고 그 열흘 뒤인 4월 29일 허정을 수반으로 하는 과도정부가 들어섰을 때 대성목재 사장 전택보 씨는 상공부장관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부패한 자유당 정권의 정치자금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전택보 씨가 자유당 정권의 내무부장관이었던 최인규 씨에게 탈세를 무마해 달라는 조건으로 2800만환의 뇌물을 주었다는 내용이 경향 각지의 신문에 대대적으로 보도되었다.

과연 그 돈이 뇌물이었느냐 정치자금이었느냐는 논란이 일긴 했었으나 검찰에 불려간 최인규 씨가 검찰조사에서 뇌물로 받았다고 진술함으로써 전택보 씨는 더이상 변명도 하지않고 상공부장관의 사표를 내고 말았다. 35일간의 단명장관으로 물러났던 것이다.

자유당 정권은 1960년 3.15 부정선거를 치르기 위해 뇌물·기부 등의 명목으로 기업체로부터 정치자금을 뜯어낸 경우가 많았었는데 4·19가 일어난 후 과도정부의 재무부 당국이 정치자금의 자료를 공식발표하였다.

167개 업체가 94억환을 정치자금으로 제공하였으며 그 액수에 따른 기업체의 명단까지 소상히 발표되었다.

1억환부터 12억환까지의 억대의 돈을 제공한 업체가 15개 업체, 5천만환 이상이 16개 업체, 2500만환 이상이 14개 업체, 100만환 이상이 122개 업체라고 발표되었다.

그중 대성목재는 2800만환으로 전체에서 42번째 순이었다.
과연 전택보 사장이 낸 2800만환이 탈세를 무마해 달라는 조건의 뇌물이었을가? 아니면 강압에 의해 낸 정치자금이었을까?

이 부분에 대해서는 많은 부분이 의문으로 남아있고, 뇌물로 주었을 것이라는 기사는 무슨 흑막의 내용이 있는 기사가 아닐까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았다.

5·16혁명 직후인 그해 6월에 박정희 의장은 전택보 씨를 최고회의로 초청해 경제살리는 방법을 부탁할 정도였으며, 1965년 제2회 수출의 날에 산업훈장을 전택보 씨에게 주었던 공화당 정부가 왜 5만5000매 규모의 신규합판공장 건설이 완료되어가는 시점인 1969년에 대성목재를 부실기업으로 정리하였을까?

글; 김상혁 / shkim@witconsulting.com
      한국목재컨설팅 상임 컨설턴트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