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과 산림조합의 대립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임업인으로 볼 때 매우 부끄럽다.

대립의 핵심은 산림청이 생산보다는 환경에 관심이 높고 생산의 중심에 서 있는 조합과 거리를 가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목재생산과는 거리 먼 조림이 40여년 넘게 지속돼 왔고 생산정책이 미흡한 현실에서 산림청의 정책실행기관이라 할 수 있는 산림조합도 목재생산과는 거리 먼 사업을 시행해 오면서 신뢰는 온데간데 없고 대립만이 팽배한 채 불신의 벽을 높여오고 있다.

산림조합 역시 벌채사업 자체가 힘들고 산재위험성도 높다고 애써 외면해 왔기 때문에 누구를 탓할 자격이 없다. 산림청은 경제림조성을 수십년 동안 외면해 왔고, 산림조합은 벌채사업을 외면함으로써 산주에게 보다 적은 벌채비용과 운반비용을 제공하는 데 실패했다.

두 기관 다 산주를 위해서 최선을 다한다고 하지만 본질적으로 거리가 먼 정책을 펼쳐왔다. 산림청과 산림조합의 대립은 산주에게 고스란히 피해로 남는다.

‘산떼기’로 임목을 팔아치우는 산주의 안타까움을 누가 알겠는가.

산림청이 목재생산 정책을 바로잡고 시행해 나갈 때 산림조합도 산주의 이익을 위해 벌채비용절감과 관련된 임도개설과 장비개선, 유통개선, 목재유통시장 개선 등에 나서게 될 것이다.

또한 과감한 개혁을 통해 새로운 목재생산부국을 위해 백년대계를 세워야 한다.

산림청과 산림조합은 더 이상 대립해서는 안 된다. 누구 때문에 존재하는지 늘 생각해야 한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