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엌과 주방, 키친에는 차이점이 존재할까. 미묘하지만 분명한 차이가 있다. 부엌이 음식을 만들거나 설거지를 하는 곳이라면, 주방은 음식을 만드는 것은 물론 차려서 먹는 방이다. 키친은 차려먹는 것에 더해 가족간의 관계소통을 담당하는 집안의 생명체적 기능을 갖는다. 기본형에 점차 다른 역할이 주어지고 의미는 확장된다.
예술의전당 한가람디자인미술관은 세 번째 생활디자인 전시회로 주방에 키친을 곱해봤다. 즉, 이번 전시주제는 ‘부엌×키친’, 그들은 “지금보다 폭넓은 부엌의 이상을 찾을 수 있다고 믿었기에 부엌에 키친을 곱했다”고 말했다. “어제와 오늘에서 우리부엌의 이상을 찾고 그 안에서 인간과 자연, 기술의 유기적인 관계를 지향해 이상적인 디자인을 제시해보고자 이번 전시회를 개최했다”고 덧붙였다. 전시회는 오는 10월1일까지.

section1_부엌
절구로 쌀을 찧고, 키질을 하고, 장작으로 불을 지피고, 물동이로 물을 길어 나르고, 무쇠 솥에 밥을 해서, 밥상을 들고 방으로 오르내려야 했던 것 이외에도 힘겨운 노동이 무수히 요구됐다. 그러나 농사일과 집안일이 병행되던 그 시절, 이 공간의 양식은 현대의 부엌보다 더 편리했다. 기문주 큐레이터는 “부엌은 한국적 정체성이 매우 강했던 자연친화적 공간이었다”며 “이 섹터에서는 당시의 부엌살림을 비롯해 짚단을 쌓아 올린 배경을 접목시켜 잃어버린 자연과의 조화를 나타내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Image_View

1. 한국적 정체성이 강했던 주방. 양 옆으로는 볏짚을 쌓아 올리고 곳곳에 갖가지 부엌세간을 전시해 전통과 읽어버린 자연과의 조화를 나타냈다.

section2_주방
주방은 앞선 서구의 문명을 받아들인 부엌의 새로운 명칭으로 쓰여졌다. 배운 여성들의 위생과 편리에 대한 의식을 등에 업고 급진적으로 발전됐다. 타일부엌이 등장했고 싱크대가 도입됐으며 식당이 연장되고 거실과 가까워졌다. 남자의 출입도 자유로워진 공간이었다. 그러나 한국적 정체성이 혼란을 겪었던 과도기이기도 했다. 전시회에서는 절충식 입식부엌에 이어 싱크대가 대중화된 1970년대의 입식부엌을 재현했다.
Image_View
Image_View

2. 타일마감에 솥이 걸어진 절충식 주방.
3. 싱크대가 대중화되기 시작한 1970년대의 오리표 부엌.

section3_새로운 미래, 상상 그 이상의 키친
 
우리사회의 고도성장과 해외문화 개방을 기점으로 생활문화 전반이 급속히 글로벌화되는 양상 속에서 정착하게 된 용어가 키친이다. 키친으로 불리는 오늘날의 부엌은 과학과 예술의 만남이다.
Image_View
디자이너가 참여한 공간으로 음식을 먹고 마시는 일상적인 키친공간에서 가족간의 관계소통을 통한 생명력을 부여할 수 있는 공간이다. 이 섹터에서는 앞선 미래의 생활상을 조망하는 공간을 제안했다.
Image_View
첨단기술을 기반으로 새롭게 재편성된 서구적 생활문화와 한국적 전통을 담았다. 참여업체 및 디자이너는 에넥스, INAX, 차승화 및 하시모토 유키오 등.
Image_View
Image_View
장영남 기자 chang@woo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