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불타 사라지는 산림자원, 목재제품으로 전환해야
우리나라의 산불은 매년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크고 작은 산불은 일 년에 수십 차례 발생한다. 우리나라 산불은 자연발생은 드물고 대부분 실화로 발생하기 때문에 예방이 중요하다. 하지만, 아무리 예방한다고 해도 발생하는 산불의 횟수는 늘어나는 추세다. 과학자들은 기후변화로 가뭄과 높은 온도가 지속되는 지역에 대형 산불의 피해가 빈번해진다고 설명한다.
우리나라도 기후변화로 봄과 가을이 짧아지고 가뭄과 홍수가 빈번해지는 등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고 있다. 이번 청양, 의성, 영양, 안동 지역은 3월 초 눈이 적게 온 지역에 해당한다. 그만큼 산불이 확산하는 조건을 갖추고 있었 다. 다른 지역들은 3월 초 눈이 많이 내려 그나마 산불 피해가 덜 발생했다. 하지만, 마른 산림에 산불이 강풍을 타고 번지면 걷잡을 수 없다는 것을 2000년 삼척, 2022년 울진·삼척 산불을 통해 경험해 왔다. 앞으로 더 하면 더 했지 덜 하지 않으리라는 게 기후변화와 관련된 해석이다. 산불 예방과 확산에 대해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할 것이다. 대형 산불은 천년고찰도, 민가도 태울 뿐만 아니라 도심까지도 위협하여 인명과 재산 피해가 막대하기 때문에 지금부터는 국가재난 수준의 대비가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산림에 대해 보호 가치를 너무 크게 둔다. 전국토의 63%나 되는 산림을 생태와 환경을 고려한 보호 가치만 우선시하면 지금처럼 사람도 들어가기 힘든 빽빽한 울폐림이 된다. 나무는 자라지 못하고 쭉정이 상태로 자원가치도 없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런 산림은 산불이 나면 불쏘시개가 되어 엄청난 피해를 준다. 국립공원 등 적극 보존해야 할 산림과 목재자원을 육성해서 국민이 필요한 목재를 공급해야 할 경제림에 대한 인식과 가치가 달라야 한다.
2000년 삼척 산불로 우리나라 1년치 목재사용량 3천만㎥를 잃었다. 2만 3천ha가 탔다. 우리나라는 국민 1인당 0.5㎥의 목재를 사용한다. 평균 80세 동안 40㎥의 목재를 사용한다. 이를 산림면적으로 계산하면 0.24ha에 이르는 양이다. 720㎡의 면적에 해당한다. 30평 아파트 기준으로 8개에 해당하는 면적에 나무를 40~50년 키워서 자란 목재량에 해당한다. 우리나라는 이런 목재의 83%를 수천km나 떨어진 해외에서 엄청난 운송에너지를 지불하면서 수입해 쓴다. 진정으로 환경을 지키고 생태계 보호를 위한다면 우리 산림에서 우리가 필요한 목재를 키워서 그것도 순환자원으로 확보하는 게 얼마나 중요하다는 것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
산림자원을 늘리기 위해서 나무를 가꾸는데 필요한 것은 임도다. 도시의 성장도 도로가 중요하듯 산림자원의 임목축적량 증가에 임도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가지를 치고, 솎아 베고, 수확하는 데 필요한 임도는 수확비용을 낮춰주어 목재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고용을 창출하고 수입목재의 양을 줄여서 궁극적으로 기후변화와 환경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산림에 대해 건강한 인식을 가진 나라는 목재 수확을 당연하게 생각한다. 우리나라는 매년 자라는 목재양의 25% 정도만 수확하기 때문에 산림에 남은 양이 더 많다. 이제는 나무를 심을 곳도 없다. 이산화탄소 흡수량이 떨어져 노령화되고 있는 산림을 건축부재나 가구부재로 가공해 탄소를 저장하고 한편으로 재조림해서 어린 나무들이 자라게 해 주어야 산림의 영급구조가 개선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선 국산목재 가공시설에 대대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수입재와 경쟁이 될 수 있는 설비투자도 필요하고 산불 피해를 최소화하고, 수확 비용을 낮추는 임도도 절실하다. 어느 것이 먼저냐 할 때는 국산목재 가공시설에 대한 투자가 먼저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