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재의 주거성

 

우리 속담에 친구와 장맛은 오래되면 될 수록 맛이 좋다고 한다. 목재는 지구상에 인간생활이 시작하면서부터 사용된 인류의 근간(根幹)인 재료이고, 가장 오래된 인류의 친구이다.


또한 인간의 도구 및 주거재료로 인간의 기본정서에 없어서는 안 되는 가장 친숙한 친환경적인 재료이다. 그런데 우리는 최근 우리에게 가장 오래된 친숙한 재료인 목재를 다른 대체 재료에 매료되어 점차 잊어가려고 하고 있어서, 친구를 잃어가는 마음이 들어 안타깝기만 하다.


주거재료로 목재는 습도조절, 단열의 효과가 있어서 쾌적감을 주고, 무늬의 아름다움과 부드러운 색상의 이미지가 적당하므로 친숙감을 주며, 살균, 방취성분이 나무 냄새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건강한 인간생활을 영위하게 해준다. 이러한 이유에서 인지 오늘날 주거 공간 내에 목재를 가까이 두면 생활에 여유를 느끼게 된다.


오늘날 주거 재료로서의 목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으며, 주거재료로 목재의 사용은 부(富)의 척도로 평가되는 오해까지도 받고 있다. 목재는 우리 주변에서 가장 손쉽게 구하고, 가장 용이하게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재료이다.


지난 세기의 건축 재료가 대량생산과 대량소비에 견딜 수 있는 고내구성의 철근과 콘크리트이었다면 21세기의 건축 재료는 친환경적인 목재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에펠탑을 축조한 1890년에 파리 시민들은 300m나 되는 거대한 쇳덩어리에 대한 내구성을 걱정하였지만 20세기의 건축철학이 철강이나 콘크리트였기 때문에 관광자원으로 각광을 받을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독일에서는 뮌헨에 높이 164m의 거대한 목탑을 세우고 21세기의 건축 재료의 상징물로 내세우고 있다.


미국, 일본, 캐나다 등의 다른 나라에서는 주택재료로 가장 비용이 적게 들어가는 것을 목재로 친다. 후술하겠지만 이러한 역현상의 이유에는 주거재료로 목재의 사용이 대중화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목재는 콘크리트나 철강 등에 밀려 현재 생산에서부터 가공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공정이 한 때 중단되었다가 다시 시작하였기 때문에 그 대가를 우리가 지금 치르고 있다고 본다.


이렇게 훌륭한 재료인 목재를 우리 주변에 가까이 두고 마음대로 가공하는 대중화 시대가 되려면 지금보다 임업이나 목재산업이 활성화되고, 학교에서의 기술교육을 통해 가공기술을 보급해야 한다.


생산되는 목재 중에서 최상급의 목재는 주택축조 등의 주거재료로 사용된다. 건축은 건축가의 설계에 근거하여 축조된다. 지난 반세기 동안 건축 재료가 콘크리트나 철강에 거의 의존되었기 때문에 건축학과에서는 목재를 배울 기회가 없었다. 목재에 대한 비전문가 입장에서 본 목재는 썩고, 벌레 먹고, 뒤틀리고, 갈라지고, 또 불이 나기도 쉬운 재료로 생각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므로 주거재료로 목재를 설계에 반영하려고 해도 내구성, 강도 등의 재료성능에 대하여 자신이 없기 때문에 설계에서부터 철저히 배제 당해야만 했다.


건축가들은 이처럼 좋은 재료를 주변에 두고도 다른 대체 재료를 선택해 왔고, 앞으로도 계속해서 다른 재료를 추구하려고 한다. 여기에는 콘크리트, 석고, 스레트, 유리, 철강, 알루미늄 등의 무기재료가 생물학적으로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 등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고 보급되고 있다는 데 문제점이 있다. 지금부터라도 주거재료에 있어서는 이러한 재료물성의 생물학적인 평가에 바탕을 두고 그 우수성이 충분히 인증되는 것을 선택하여 시설재료로 사용해야 한다.

 

Image_View

 

『Ecomaterial』또는 『Ecological material』이라는 말은 요즈음 자주 듣는 말이다. 물론 『eco』는 생태, 『material』은 재료를 의미한다.『ecomaterial』을 정의하면 『환경과 조화하고, 환경에 부담이 적은 재료』가 된다. 환경과 조화한다는 말을 좀더 구체적으로 하면 그 제조로부터 사용, 리사이클, 폐기까지를 고려하여 에너지소비가 작다는 말이 된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목재가 다른 재료 보다 생물학적으로 우수하다고 이야기 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목재의 우수성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가 계량화되어 나온 것이 별로 없다. 따라서 학계에서는 목질재료를 포함한 다른 대체 재료가 주거재료로 사용되었을 때 어떠한 효과가 있을까에 대<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