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월간 가격동향 요약올해 상반기에 이어 목재제품의 가격은 9월까지도 큰 변동이 없는 상황이다. 7월에 비해 9월 목재가격은 대부분 변동이 없었으나 합판류는 인상 품목이 있었고 목조주택자재는 품목에 따라 인상과 인하가 있었다. 9월 중순까지도 무더위가 지속되었고 시장 수요는 좀처럼 살아나지 않아 가격변동 폭은 거의 없었다.올해 8월에 집계된 국산 원목 1분기 가격은 작년 1분기에 비해 대체적으로 낮아졌다. 수입 원목이나 제재목의 가격도 변화가 없었고 소프트메이플 특수목 가격만 13.5% 인하됐다.보드류는 준내수 합판과 코어합판이
◇ 7월 월간 가격동향 요약올해 5월에 비해 7월 목재가격은 일부 품목이 인하되었다. 여름 장마와 무더위에 시장 수요가 부진한 가운데 수요량이 많은 보드류와 목조주택 자재의 일부 가격이 인하됐다. 수입제재목 중 러시아산 스프루스 각재 가격이 수요부진으로 5월에 비해 3.0% 하락했다. 북미산 특수목 가격과 집성재, 천연 데크재 가격은 변동이 없었다. 보드류와 목조주택자재 가격은 대체로 하락추세인데 준내수 합판 3x6 사이즈 4.8~11.5㎜ 두께 일부 품목이 9~10% 내렸다. 코어합판은 모든 규격에서 약 9% 내렸다. PB, 미송
◇ 5월 월간 가격동향 요약올해 3월에 비해 5월 목재가격은 일부 품목만 인상 또는 인하된 반면 시장 수요가 여전히 받쳐주지 못해 인상 또는 인하 폭은 크지 못하다. 국산 원목 2024년도 4/4분기 가격이 발표됐는데 대부분 2023년도 4/4분기 대비 모든 수종에서 하락했다. 건설 수요에 대응하는 낙엽송 원목이 8% 가량 하락했다. 수입제재목 중 스프루스 러시아산 각재 가격이 2.9% 하락했다. 북미산 특수목 중 월넛 건조 판재 가격이 12%가 올라 입방미터당 700만 원대를 기록했다. 화이트오크 건조 판재도 1.4%가 올라 입방
◇ 3월 월간 가격동향 요약올해 1월에 비해 3월 목재가격도 환율인상이 반영된 품목이 늘어나고 있으나 시장 수요가 받쳐주지 못해 인상 폭은 크지 못하다. 대부분의 목재자재 가격이 상승하는 중이고 상승이 반영되지 않은 레드오크, 화이트 오크, 소프트메이플 등 특수목도 10% 이상 올라 가장 인상폭이 컸다. 남양재 원목과 북양재 원목의 가격은 거의 오르지 않았다. 인상 요인이 있지만 수요 감소로 인상 폭을 반영 못 하는 실정이다. 러시아 스프루스 각재는 환율인상분을 반영하여 3.0% 올랐다. 천연데크 카폴, 큐링, 모말라가 5% 올랐다
◇ 1월 월간 가격동향 요약작년 11월에 비해 1월 목재가격은 환율인상이 반영된 품목이 늘어나고 있으며 가격은 3~10% 가량 상승하고 있다. 대부분의 목재자재 가격이 상승하는 중이고 상승이 반영되지 않은 특수목도 2월이면 오를 전망이다. 국산원목의 경우 재작년 3분기에 비해 작년 3분기 가격은 전반적으로 모든 수종에서 하락세를 보였다. 북양 원목과 제재목이 환율의 영향으로 가격이 3~6% 상승 중이다. 천연데크 방킬라이와 멀바우 그리고 이페의 가격이 8~10% 올랐다.수입 집성재의 가격도 라디에타파인 무절이 3~4% 상승했다. 고
◇ 11월 월간 가격동향 요약11월 목재가격은 목조주택자재의 소폭 인상과 일부 합판 자재의 일부 인상 및 하락 외에 다른 품목들은 가격 변동이 없었다. 환율인상분이 반영되는 다음 달에는 일부 제재목의 가격 인상이 예상되지만 수요 견인력이 약해 인상될지 아니면 그대로 갈지는 예상하기 어렵다. 건설시장과 내수시장이 모두 최악의 상황이라 목재 자재의 수요의 변화는 기대하기 어려워 환율 인상분을 반영 못 할 경우 업계의 부담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러시아 스프루스 제재목, 데크재, 집성재, 특수목, 북양재와 남양재 원목 모두 가격 변화가
◇ 9월 월간 가격동향 요약9월 목재가격은 거의 움직이지 않았다. 유의미한 등락 폭을 보이지 않았고 합판과 목조주택자재 그리고 스프루스 각재 가격이 일부 상승과 하락을 했을 뿐이다. 수요의 변화가 읽혀지지 않는 상황이다. 러시아산 스프루스 제재목도 수요 감소로 3.0% 또 내렸다. 집성재 가격은 변함이 없었다. 특수목의 가격도 변함이 없었다. 천연데크재의 가격도 변화가 없었다. 대부분의 목조주택용 자재 중 구조재 2X4가 3% 정도 내렸고 2X6는 4.5% 올랐다. 콤브데크재 15mm는 5.2% 내렸고 21과 27mm는 2.9% 올
◇ 7월 월간 가격동향 요약7월 목재가격은 대부분의 품목이 등락이 거의 없는 가운데 일부 품목만이 소폭의 등락을 보였다. 기대 수요를 못 미치는 상황이 계속돼 가격은 큰 움직임이 없다. 러시아산 스프루스 제재목도 수요 감소로 3.0% 내렸다. 집성재 가격은 변함이 없었다. 특수목의 가격이 일제히 올랐다. 특수목은 월넛이 2.4% 올랐고 애쉬도 2.5% 올랐다. 체리는 5.1%, 하드메이플은 4.0% 내렸다. 천연데크재의 가격도 변화가 없었다. 대부분의 목조주택용 자재가 2~3% 정도 올랐다. 구조재의 가격이 2.1~2.3% 올랐다.
◇ 5월 월간 가격동향 요약5월 목재가격은 대부분의 품목이 등락이 거의 없는 가운데 일부 품목만이 소폭의 등락을 보였다. 수요감소로 원목과 제재목의 가격은 낮아지고 있는 추세다. 라디에타파인 제재목 2% 정도 올랐다. 러시아산 스프루스 제재목도 수요 감소로 8.3% 내렸다. 고무나무 집성재 가격이 2.5% 올랐고 다른 수종들은 변동이 없었다.특수목의 가격이 일제히 올랐다. 월넛이 10.8%로 가장 많이 올랐고 레드오크도 3.9% 올랐다. 다른 품목들도 일제히 올랐다. 천연데크재의 가격도 변화가 없었다. 구조재의 가격이 1.6~3.2
◇ 3월 월간 가격동향 요약3월 목재가격은 대부분의 품목이 등락이 거의 없는 상황이다. 원목과 제재목 분야는 재고는 줄어들고 있는 데 가격 변화는 거의 없었다. 다만 러시아산 스프루스 제재목의 수급이 원활치 못 하면서 가격이 폭등했다.하지만 지금은 다시 안정되고 있다. 구조재와 OSB 등 목조주택자재 가격이 소폭 인상됐다. OSB 11mm가 1월에 비해 20% 인상됐다. 콤브데크재는 2~3% 가격이 하락했다. 방부목도 1.5~6.6% 인상됐다. 2X4 규격재 방부목이 6.6% 인상됐다. 미송합판 12mm가 7.1% 하락했다. 천연데
◇ 1월 월간 가격동향 요약올해 1월 들어서도 수요부진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대부분의 자재 가격이 하락하는 추세다. 국산원목이 재작년 3분기 대비 작년 3분기 기준으로 삼나무를 제외한 전 수종의 가격이 4~5% 정도 하락했다. 삼나무와 라디에타파인 집성판재의 가격이 7%, 2% 하락했다. 하드메이플 특수목 가격이 2% 하락했다. 러시아산 스프루스 원목과 미국산 햄록 원목의 가격도 2~4% 하락했다. 합판 보드류의 가격은 재고와 수요부진으로 움직이지 않았다. 2023년 11월에 비해 2024년 1월의 데크재와 남양재 원목, 합판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