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월간 가격동향 요약올해 상반기에 이어 목재제품의 가격은 9월까지도 큰 변동이 없는 상황이다. 7월에 비해 9월 목재가격은 대부분 변동이 없었으나 합판류는 인상 품목이 있었고 목조주택자재는 품목에 따라 인상과 인하가 있었다. 9월 중순까지도 무더위가 지속되었고 시장 수요는 좀처럼 살아나지 않아 가격변동 폭은 거의 없었다.올해 8월에 집계된 국산 원목 1분기 가격은 작년 1분기에 비해 대체적으로 낮아졌다. 수입 원목이나 제재목의 가격도 변화가 없었고 소프트메이플 특수목 가격만 13.5% 인하됐다.보드류는 준내수 합판과 코어합판이
◇ 7월 월간 가격동향 요약올해 5월에 비해 7월 목재가격은 일부 품목이 인하되었다. 여름 장마와 무더위에 시장 수요가 부진한 가운데 수요량이 많은 보드류와 목조주택 자재의 일부 가격이 인하됐다. 수입제재목 중 러시아산 스프루스 각재 가격이 수요부진으로 5월에 비해 3.0% 하락했다. 북미산 특수목 가격과 집성재, 천연 데크재 가격은 변동이 없었다. 보드류와 목조주택자재 가격은 대체로 하락추세인데 준내수 합판 3x6 사이즈 4.8~11.5㎜ 두께 일부 품목이 9~10% 내렸다. 코어합판은 모든 규격에서 약 9% 내렸다. PB, 미송
◇ 5월 월간 가격동향 요약올해 3월에 비해 5월 목재가격은 일부 품목만 인상 또는 인하된 반면 시장 수요가 여전히 받쳐주지 못해 인상 또는 인하 폭은 크지 못하다. 국산 원목 2024년도 4/4분기 가격이 발표됐는데 대부분 2023년도 4/4분기 대비 모든 수종에서 하락했다. 건설 수요에 대응하는 낙엽송 원목이 8% 가량 하락했다. 수입제재목 중 스프루스 러시아산 각재 가격이 2.9% 하락했다. 북미산 특수목 중 월넛 건조 판재 가격이 12%가 올라 입방미터당 700만 원대를 기록했다. 화이트오크 건조 판재도 1.4%가 올라 입방
◇ 3월 월간 가격동향 요약올해 1월에 비해 3월 목재가격도 환율인상이 반영된 품목이 늘어나고 있으나 시장 수요가 받쳐주지 못해 인상 폭은 크지 못하다. 대부분의 목재자재 가격이 상승하는 중이고 상승이 반영되지 않은 레드오크, 화이트 오크, 소프트메이플 등 특수목도 10% 이상 올라 가장 인상폭이 컸다. 남양재 원목과 북양재 원목의 가격은 거의 오르지 않았다. 인상 요인이 있지만 수요 감소로 인상 폭을 반영 못 하는 실정이다. 러시아 스프루스 각재는 환율인상분을 반영하여 3.0% 올랐다. 천연데크 카폴, 큐링, 모말라가 5% 올랐다
◇ 1월 월간 가격동향 요약작년 11월에 비해 1월 목재가격은 환율인상이 반영된 품목이 늘어나고 있으며 가격은 3~10% 가량 상승하고 있다. 대부분의 목재자재 가격이 상승하는 중이고 상승이 반영되지 않은 특수목도 2월이면 오를 전망이다. 국산원목의 경우 재작년 3분기에 비해 작년 3분기 가격은 전반적으로 모든 수종에서 하락세를 보였다. 북양 원목과 제재목이 환율의 영향으로 가격이 3~6% 상승 중이다. 천연데크 방킬라이와 멀바우 그리고 이페의 가격이 8~10% 올랐다.수입 집성재의 가격도 라디에타파인 무절이 3~4% 상승했다. 고
◇ 11월 월간 가격동향 요약11월 목재가격은 목조주택자재의 소폭 인상과 일부 합판 자재의 일부 인상 및 하락 외에 다른 품목들은 가격 변동이 없었다. 환율인상분이 반영되는 다음 달에는 일부 제재목의 가격 인상이 예상되지만 수요 견인력이 약해 인상될지 아니면 그대로 갈지는 예상하기 어렵다. 건설시장과 내수시장이 모두 최악의 상황이라 목재 자재의 수요의 변화는 기대하기 어려워 환율 인상분을 반영 못 할 경우 업계의 부담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러시아 스프루스 제재목, 데크재, 집성재, 특수목, 북양재와 남양재 원목 모두 가격 변화가
◇ 9월 월간 가격동향 요약9월 목재가격은 거의 움직이지 않았다. 유의미한 등락 폭을 보이지 않았고 합판과 목조주택자재 그리고 스프루스 각재 가격이 일부 상승과 하락을 했을 뿐이다. 수요의 변화가 읽혀지지 않는 상황이다. 러시아산 스프루스 제재목도 수요 감소로 3.0% 또 내렸다. 집성재 가격은 변함이 없었다. 특수목의 가격도 변함이 없었다. 천연데크재의 가격도 변화가 없었다. 대부분의 목조주택용 자재 중 구조재 2X4가 3% 정도 내렸고 2X6는 4.5% 올랐다. 콤브데크재 15mm는 5.2% 내렸고 21과 27mm는 2.9% 올
◇ 7월 월간 가격동향 요약7월 목재가격은 대부분의 품목이 등락이 거의 없는 가운데 일부 품목만이 소폭의 등락을 보였다. 기대 수요를 못 미치는 상황이 계속돼 가격은 큰 움직임이 없다. 러시아산 스프루스 제재목도 수요 감소로 3.0% 내렸다. 집성재 가격은 변함이 없었다. 특수목의 가격이 일제히 올랐다. 특수목은 월넛이 2.4% 올랐고 애쉬도 2.5% 올랐다. 체리는 5.1%, 하드메이플은 4.0% 내렸다. 천연데크재의 가격도 변화가 없었다. 대부분의 목조주택용 자재가 2~3% 정도 올랐다. 구조재의 가격이 2.1~2.3% 올랐다.
◇ 5월 월간 가격동향 요약5월 목재가격은 대부분의 품목이 등락이 거의 없는 가운데 일부 품목만이 소폭의 등락을 보였다. 수요감소로 원목과 제재목의 가격은 낮아지고 있는 추세다. 라디에타파인 제재목 2% 정도 올랐다. 러시아산 스프루스 제재목도 수요 감소로 8.3% 내렸다. 고무나무 집성재 가격이 2.5% 올랐고 다른 수종들은 변동이 없었다.특수목의 가격이 일제히 올랐다. 월넛이 10.8%로 가장 많이 올랐고 레드오크도 3.9% 올랐다. 다른 품목들도 일제히 올랐다. 천연데크재의 가격도 변화가 없었다. 구조재의 가격이 1.6~3.2
◇ 3월 월간 가격동향 요약3월 목재가격은 대부분의 품목이 등락이 거의 없는 상황이다. 원목과 제재목 분야는 재고는 줄어들고 있는 데 가격 변화는 거의 없었다. 다만 러시아산 스프루스 제재목의 수급이 원활치 못 하면서 가격이 폭등했다.하지만 지금은 다시 안정되고 있다. 구조재와 OSB 등 목조주택자재 가격이 소폭 인상됐다. OSB 11mm가 1월에 비해 20% 인상됐다. 콤브데크재는 2~3% 가격이 하락했다. 방부목도 1.5~6.6% 인상됐다. 2X4 규격재 방부목이 6.6% 인상됐다. 미송합판 12mm가 7.1% 하락했다. 천연데
◇ 1월 월간 가격동향 요약올해 1월 들어서도 수요부진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대부분의 자재 가격이 하락하는 추세다. 국산원목이 재작년 3분기 대비 작년 3분기 기준으로 삼나무를 제외한 전 수종의 가격이 4~5% 정도 하락했다. 삼나무와 라디에타파인 집성판재의 가격이 7%, 2% 하락했다. 하드메이플 특수목 가격이 2% 하락했다. 러시아산 스프루스 원목과 미국산 햄록 원목의 가격도 2~4% 하락했다. 합판 보드류의 가격은 재고와 수요부진으로 움직이지 않았다. 2023년 11월에 비해 2024년 1월의 데크재와 남양재 원목, 합판보드
◇ 11월 월간 가격동향 요약 11월 들어서도 수요부진이 여전한 가운데 특수목, 합판, PB, MDF, 목조주택자재, 제재목의 가격이 하락하였다. 합판·보드류는 약 9% 전후로 가격이 빠졌고 특수목은 4% 정도 하락했다. 건설경기 침체가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재고량이 많은 보드류의 가격이 일제히 내렸으며 대부분의 가격은 보합세거나 내리는 추세다. 9월에 비해 11월의 집성재와 데크재의 가격은 변동이 없었다. 북미산 원목의 가격도 변동이 없었다. 남양재 원목의 가격도 변동이 없었다. 라디에타파인 포장재가
◇ 9월 월간 가격동향 요약 9월 들어서도 수요부진이 여전한 가운데 전반적인 가격은 변동이 없거나 약간 낮아지고 있고 일부 품목은 단가가 상승한 부분도 있으나 범위가 제한적이다. 수요침체가 장기 지속화되고 있어 시장의 가격은 꽁꽁 묶이다시피 했고 낮은 가격을 제시해도 거래가 형성되지 않는 등 꽉 막힌 상태다. 수입량이 줄어들고 있으며 수입단가도 낮아지는 추세다. 올해 2사분기 국산재 원목가격은 작년 2사분기 대비 4~7% 내렸다. 7월에 비해 9월의 집성재 가격은 변동이 거의 없었다. 유럽산 비치 제재목
◇ 7월 월간 가격동향 요약 7월 들어서도 부진한 매출은 좀처럼 회복 기미를 보이지 않은 채 답답한 시간들을 보내고 있다. 수입 업체들은 재고 때문에 물량 조절에 나섰고 이미 오른 가격에 수입한 재고를 낮은 가격으로 판매해야 하는데도 수요가 부진하기 때문에 이중삼중고를 겪고 있다. 국산재 올해 1분기 원목가격은 작년 한해 반짝 올랐다 다시 내림세로 돌아섰다. 5월에 비해 7월의 수입원목과 제재목, 집성재 등의 가격 변동은 거의 없었고 레드파인 제재목이 5%, 삼나무 솔리드 집성재가 3% 내렸다. 목조주택
◇ 5월 월간 가격동향 요약 5월 들어 지금까지 한 번도 겪어보지 못한 5월 경기에 시장은 경악을 금치 못하고 있다. 기대했던 경기반등은 고사하고 평상시의 5월보다 못한 절벽수요에 시장의 실망감은 초고조에 달하고 있다. 건설의 장기침체로 해외 산지의 가격의 반등과 무관하게 목조자재와 보드류 외의 기타 목재가격은 내리지도 올리지도 못하는 실정이다. 3월에 비해 5월의 수입원목과 제재목, 특수목, 집성재 등의 가격 변동은 없었고 목조주택자재가 2~9%내렸고 MDF를 비롯한 합판과 보드류의 가격이 약 10%
◇ 3월 월간 가격동향 요약 국내산 원목의 생산량 감소와 수요 증가로 가격이 상승하는 추세다. 2023년 3월은 전반적으로 수요침체로 목재 제품의 가격이 내려가는 추세를 보여주었다. 경기침체가 오래갈 것을 염려하는 원목, 합판, 제재목 수입업체들은 수입량을 줄였고 그사이 재고부분을 줄여나갔다. 올해 3월은 건설수요의 침체의 영향이 계속되는 가운데 일부 물량의 소비가 늘어나고 있지만 작년과 비교해도 매우 낮은 수준이다. 이러한 영향을 반영하듯 주요 목재제품의 가격이 동결되거나 내려가는 추세다. 2022년
◇ 1월 월간 가격동향 요약 작년 한해 수입원목과 제재목의 가격 인상으로 국내산 원목의 가격이 상승하는 영향을 받았다. 2023년 1월은 전반적인 목재 제품의 가격이 내려가는 추세다. 수입업체들은 작년 한해 환율 인상 폭이 예상보다 커 환차손에 시달리면서 수입량을 줄였으며 그 결과 원목, 제재목, 합판등 주요 건설목재자의 수입량이 2021년에 비해 줄었다. 올해 1월은 수요침체의 영향이 계속되고 계절적으로 동절기로 수요가 적어 목재자재 가격이 점차 내려가는 추세다. 국산원목 소나무 특용재급이 2.1% 올
◇ 11월 월간 가격동향 요약환율이 다소 하락하면서 결재를 앞둔 회사들의 숨통이 조금 트였다. 하지만 건설경기 침체가 장기화됨에 따라 재고 부담을 안고 있는 회사들이 덤핑을 하는 등 시장은 어수선하고 돌파구를 찾지 못하는 형세다. 해외 목자재들의 가격은 낮아지고 낮아진 물량들이 들어오면서 기존 재고와 가격 밸런스가 맞지 않아 고전 중이다. 대부분의 자재가격이 동결되고 점차 낮아질 전망이다.천연 데크재 가격이 모든 수종에서 5% 하락했다. 합판과 PB 가격도 소폭 내렸다. 목조건축자재도 소폭 하락했다. 준내수 합판 4.8mm(3x6)
◇ 10월 월간 가격동향 요약목재시장의 불황은 10월에도 계속되며 기록적인 고환율도 가라앉지 않고 있다. 원달러 대비 미환율은 10월 24일 오후 3시 기준은 1,438.6원을 기록하고 있어 전달 이때보다 2원 오른 채 내려오지 않고 있다. 건설자재 인상과 부동산 경기 침체로 목재수요가 줄어드는 추세가 올 하반기 계속되면서 가장 매출이 많아야 하는 달에도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유럽과 아시아의 금융위기가 나도는 가운데 시장의 분위기는 살얼음을 걷는 형국이다. 2분기 국산 소나무 1등급 원목은 전년 2분기 대비 12.8%
◇ 9월 월간 가격동향 요약목재시장은 불황에 기록적인 환율 리스크로 비상사태다. 원달러 대비 미환율은 9월 26일 오후 3시 기준은 1,433원을 기록하고 있어 2008년 금융위기 이후로 가장 상태가 좋지 못하다.한국의 경제상황이 매우 좋지 않음을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상황이 호전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어 더욱 더 답답한 상황이다. 목재 업계는 산지 가격이 떨어져도 매수 주문을 넣지 못하고 있다. 환율인상분 반영도 오더가 약해 쉽지 않은 상황이다. 돌아오는 유산스 LC를 처리하기 위해 재고가 많은 아이템을 싸게 팔거나 밑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