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재의 현미경적 구조 4

▲그림 1. 백전나무의 단열방사조직과 복열방사조직(A) 및 잣나무(B), 가문비나무(C)와 일본잎갈나무(D) 방추형 방사조직 내의 수평수지구
▲그림 2. 소나무(A), 라디에타소나무(B), 가문비나무(C), 연필향나무(D), 백전나무(E) 및 남양삼나무속(F)의 교분야벽공
구성 세포에 따른 방사조직
방사조직은 구성 세포의 폭이 1열인 경우 단열방사조직, 2열인 경우 복열방사조직, 그리고 중앙에 수평수지구가 발달돼 있어 방추형을 띠는 경우 방추형방사조직이라고 부른다.

교분야(cross-field)
침엽수재의 춘재부 방사단면에 있어서 축방향의 가도관과 방사유세포가 서로 직교하는 부분을 교분야라고 한다. 이 교분야에는 수종에 따라 독특한 형태의 벽공이 발달되기 때문에 침엽수재의 식별에 있어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게 된다.

교분야벽공의 종류
교분야벽공의 종류로는 연송류인 섬잣나무, 잣나무 등과 경송류 가운데에서도 곰솔, 소나무 등에서 관찰되는 것으로써 단벽공 내지 외관상 단벽공처럼 보이는 큰 창문 모양의 벽공이 발달돼 있는 창상벽공, 곰솔과 소나무를 제외한 라디에타소나무, 리기다소나무 등의 경송류에서 관찰되는 것으로써 창상벽공보다 크기가 작을 뿐만 아니라 불규칙한 모양을 띠면서 벽공연이 인지되는 벽공 또는 인지되지 않는 벽공이 발달돼 있는 소나무형벽공, 가문비나무속, 솔송나무속, 잎갈나무속 등에서 관찰된다.
폭이 좁은 슬릿 모양의 윤출공구 보다 매우 넓은 벽공연을 지니는 벽공이 발달돼 있는 가문비나무형벽공, 삼나무속, 전나무속, 측백나무속 등에서 관찰돼 계란형 내지 원형의 윤내공구를 지니면서 벽공구의 폭이 넓어 벽공구와 벽공연 사이의 폭이 매우 좁은 벽공이 발달돼 있는 삼나무형벽공, 비자나무속, 편백속, 향나무속 등에서 관찰되는 것으로써 슬릿 모양이 아닌 다소 타원형의 윤내공구를 지니면서 벽공구의 폭이 좁아 벽공구와 벽공연 사이의 폭이 더 넓은 벽공이 발달돼 있는 편백형벽공 그리고 퀸즐랜드카우리, 패러나소나무 등에서 관찰되는 것으로써 개개의 벽공이 대부분 편백형벽공이지만 보통 3개 이상이 밀집돼 교호상 배열을 이루고 있는 남양삼나무형벽공이 있다.
수지구는 세포와 세포 사이의 틈새인 세포간구로써 수지를 분비하는 특수한 유세포로 둘러쌓여 있는데 이처럼 수지를 분비하는 유세포를 에피델리움세포 그리고 이들 에피델리움세포의 층상 집합체를 에피델리움이라고 부른다. 수지는 피해를 입은 조직의 치유와 곤충 등의 침입자를 물리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다음호에 계속됩니다.>
국민대학교 임산생명공학과 엄영근 교수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