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재의 현미경적 구조 13

▲그림 1. 구성 세포의 종류에 따른 방사조직의 종류 예시도(A) 및 물오리나무(B), 생달나무(C), 동백나무(D)와 때죽나무(E)의 방사조직
▲그림 2. 단천공판을 지니는 예덕나무(A)와 망상천공판을 지니는 백당나무(B)의 방사조직세포, 녹나무의 기름세포(C~D), 흑호두나무 축방향유세포 내의 결정(E), 붉가시나무의 다실결정세포(F), 팽나무 방사유세포 내의 결정(G), 오구나무 타일로시스 내의 결정(H) 및 백메런티 방사유세포 내의 실리카(I~J)
구성세포의 종류에 따른 분류
구성세포의 종류에 따른 분류의 경우 어느 한 종류의 세포로만 구성돼 있는 경우 ‘동성방사조직’ 그리고 두 종류의 이상의 세포로 구성돼 있는 경우 ‘이성방사조직’이라고 부른다.
이성방사조직의 경우 대개 중앙에 ‘평복세포’가 그리고 상하 가장자리에서 ‘방형세포’ 또는 ‘직립세포’가 배열되는 형태를 띠고 있다.
평복세포로만 구성돼 있는 단열동성방사조직은 사시나무속, 밤나무속, 오리나무속, 잣밤나무속 등에 그리고 단열이성방사조직은 꾸지뽕나무속, 버드나무속, 사람주나무속, 예덕나무속 등에 발달돼 있다.
한편, 평복세포로만 구성돼 있는 다열방사조직은 단풍나무속, 자귀나무속 등에, 직립세포나 방형세포 단독 또는 양자 모두로 구성돼 있는 다열방사조직은 식나무 등에, 다열부는 평복세포로 그리고 상하 가장자리의 단열부가 1열의 직립세포 또는 방형세포로 구성돼 있는 다열방사조직은 음나무, 녹나무속, 자작나무속, 서어나무속 등에, 다열부는 평복세포로 그리고 상하 가장자리의 단열부가 2~4열의 직립세포 또는 방형세포로 구성돼 있는 다열방사조직은 동백나무, 말오줌때속 등에 그리고 다열부는 평복세포로 그리고 상하 가장자리의 단열부가 5열 이상의 직립세포 또는 방형세포로 구성돼 있는 다열방사조직은 때죽나무, 커피나무속 등에 발달돼 있다.
접선단면에서 볼 때 감나무, 아메리카마호가니, 칠엽수, 흑단 등처럼 대략 높이가 비슷한 방사조직이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열을 지어 있는 층계상 배열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도 있다.

천공을 지니는 방사조직세포
천공을 지니는 방사조직세포는 인접하고 있는 세포와 크기가 같거나 또는 더 큰 방사조직 구성 세포로써 특이하게도 도관요소처럼 천공뿐만 아니라 도관상호간벽공과 유사한 유연벽공을 지니는 것을 일컫는 것으로써 백당나무, 예덕나무 등에서 관찰되고 있다.
천공은 대개 방사조직의 양쪽에 존재하는 2개의 도관요소와 서로 접하는 측벽에 발달돼 있는데 방사조직세포는 단천공판, 계단상천공판, 망상천공판 등을 지니지만 같은 목재의 도관요소에 발달돼 있는 천공판의 종류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라고스명주고무나무, 유럽회양목 등처럼 방사유세포가 부분적으로 분리돼 있으나 세포 상호간의 결합이 관상 내지 복잡한 벽 돌기부에 의해 유지되고 있는 이접방사유세포도 있다.

<다음호에 계속됩니다.>
국민대학교 임산생명공학과 엄영근 교수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